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하루 만에 3만 명 넘게 급증하며 9만 명대를 넘어섰다. 정부가 백신접종과 방역강화 등에 힘쓰고 있지만 확산세가 좀처럼 잡히지 않는 모양새다.
애초 정부는 2월 말 13~17만 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확산세가 심상치 않아 방역당국의 예상이 빗나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이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비대면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16일 발표된 신규 확진자 수가 10만 명에 가까워지며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결정해야 하는 정부도 고민이 깊어지게 됐다.
정부는 위중증 환자 수가 크게 늘지 않는다고 판단해 지금 시행하고 있는 사적모임 6인·영업시간 9시 지침을 8인·10시로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강화된 거리두기로 자영업자·소상공인의 피해가 이어지며 인원·시간제한을 폐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누적된 불만을 외면할 수 없었던 터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세가 정점을 찍지 않은 상황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면 이후 더 큰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가 9일 발표한 '코로나19 확산 예측 리포트'에 따르면 지금의 확산세를 유지할 경우 2월 말에서 3월 초 사이 신규 확진자 수가 23만5천 명을 넘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중증 환자 수 역시 1천 명 이상일 것으로 예상됐다.
리포트가 발표된 9일부터 16일까지 일주일 사이 신규 확진자 수는 거의 더블링(2배 이상 늘어나는 현상)됐다. 이를 고려하면 신규 확진자 수가 23만5천 명보다 더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방역당국이 발표한 신규 확진자 수 추이를 살펴보면 지난 1월26일 1만 명대로 올라선 뒤 줄곧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2월에도 4일 2만7천 명대에서 5일 3만6천 명대로 크게 늘었고 9일 4만9천 명으로 다시 껑충 뛰었다. 이후 5만 명대를 유지하다 16일 9만 명대로 올라섰다.
해외에서 한국의 가파른 확진자 증가세를 경계하는 모습도 나타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14일 한국을 코로나19 여행경보 4단계(매우 높음)로 상향조정하고 자국민에게 한국 여행을 자제할 것을 당부했다.
최근 해외 국가들 가운데 오미크론 영향으로 확진자 수가 가파르게 증가했다가 하락세로 접어든 경우가 많다.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미국의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1월14일 80만 명을 넘기며 정점을 찍은 뒤 한 달 만에 17만 명대로 줄어들었다. 영국도 1월 초 확진자 수가 20만 명 이상이었으나 최근 4만 명대까지 감소했다.
캐나다 보건당국은 11일 "신규 확진자 수, 검사 양성률, 실질감염재생산수, 하구 감시 결과 등을 고려했을 때 전국 차원에서 오미크론 감염이 정점을 지났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발표일을 기준으로 최근 일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그 전 주와 비교해 28%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우리는 상대적으로 확산 속도가 더뎌 정점까지는 한참 남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방역·거리두기를 완화하는 건 시기상조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방역당국과 전문가들 모두 3월 초 정도를 정점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혁민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16일 연합뉴스TV에 출연해 "정점 규모는 20~25만 명 사이, 그 정도가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그 시기는 말했던 것처럼 2주 뒤부터 3주 뒤 사이 정도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는 확산세 및 경제·사회적 피해를 함께 고려해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하겠고 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에 대해서는 상반된 의견들도 있고 다양한 쟁점들도 있다고 본다"며 "여러 의견을 들으면서 의사를 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서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