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의 가격이 빠르게 하락하면서 서버용 제품 등 기업시장에서 하드디스크를 대체하는 등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SSD의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고용량 제품을 구현할 수 있는 3D낸드 공정의 중요성이 커지며 낸드플래시 기술력에서 가장 앞선 삼성전자가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
|
|
▲ 김기남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겸 시스템LSI사업부 사장. |
이세철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0일 "SSD는 하드디스크를 대체할 수 있지만 가격이 높아 제품을 대량구매해야 하는 서버업체들이 채택하기 어려웠다"며 "하지만 최근 가격이 빠르게 하락하며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NH투자증권은 전 세계 SSD 출하량 가운데 서버용 제품의 비중이 지난해 22%에서 올해 31%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버용 제품의 연간 출하량 성장률은 138%로 예상됐다.
SSD는 하드디스크에 비해 정보처리속도와 수명 등 성능이 10배 이상 높고 전력소모가 90% 가까이 적다는 확실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가격이 높은 것이 최대 단점으로 꼽힌다.
삼성전자 등 세계 메모리반도체기업들은 낸드플래시의 성장잠재력에 주목해 미세공정과 원가절감에 주력하며 치열한 기술경쟁을 벌여왔다. 인텔 등 시스템반도체 전문기업도 점차 낸드플래시 분야에서 공격적인 성장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 경쟁의 결과로 SSD의 평균가격이 빠르게 하락하며 소비자에 이어 기업들도 하드디스크를 SSD로 대체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이다.
NH투자증권은 SSD와 하드디스크의 가격차가 2012년에는 6배 정도였지만 현재는 2.8배까지 줄었다는 조사결과를 내놓았다.
이 연구원은 "SSD는 집적도를 높여 고용량을 구현할 수 있고 향후 3D낸드 기술의 발전으로 생산원가를 더 절감할 수도 있다"며 "SSD의 가격은 결국 하드디스크와 비슷해지며 수요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3D낸드 기술은 반도체소자를 입체적으로 쌓아 고용량을 구현하며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가 2014년부터 3D낸드를 생산하며 기술력에서 가장 앞선 가운데 SK하이닉스와 도시바 등 후발업체들이 올해 초부터 양산을 시작했다.
세계 최대 반도체기업인 인텔 역시 올해부터 3D낸드의 기술개발을 완료하고 중국에서 대규모 생산시설을 가동해 낸드플래시 시장지배력을 공격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
|
|
▲ 삼성전자가 공개한 15.36테라바이트급 서버용 SSD. |
하지만 SSD 시장이 서버 분야로 확대되며 예상보다 빠른 성장이 예고되는 만큼 당분간은 시장을 선점한 삼성전자가 가장 큰 수혜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최근 3D낸드 기술을 적용한 세계 최대용량의 15.36테라바이트급 서버용 SSD 제품을 공개하며 기술력을 재증명했다.
이 연구원은 "3D낸드 기술을 일찍부터 보유한 업체와 그렇지 않은 업체의 경쟁력 차이는 앞으로 점점 더 벌어질 것"이라며 "3D낸드의 효과는 2017년부터 본격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연구원은 애플 등 대형 스마트폰업체도 3D낸드 메모리 탑재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어 앞으로 삼성전자의 낸드플래시 기술경쟁력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