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규 금융연구원장은 “가계부채 관리대책이 과도한 대출수요심리 억제에 상당한 성과가 있었다”며 “2022년에도 국내외 금리인상 등의 여건을 감안할 때 금융불균형 완화를 위한 사전점검과 제도적 준비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빅테크의 금융진출 활성화와 관련해 “공정경쟁 환경 조성이 중요하나 그 과정에서 혁신이 저해되지 않도록 금융당국의 균형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은 “2023년부터 보험회사에 새롭게 적용되는 국제회계기준(IFRS17)과 이에 맞춰 보험회사의 체질 개선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조봉현 IBK경제연구소장은 “2022년부터 본격화할 코로나19 지원 정상화 과정에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금융전략이 필요하다”며 “취약기업 선별과 탄력적 정책 운용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조영서 KB경영연구소장은 가계부채 관리와 부동산시장 안정화정책과 관련해 “대응 과정에서 실수요자와 취약계층을 위한 정책적 보완도 지속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장은 핀테크의 금융업 진출 확대를 놓고 “금융업 인·허가제도의 보완을 통해 생산적 경쟁과 혁신을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전문가들의 제언과 후속 실무회의 논의 내용 등을 반영해 2022년도 금융정책을 준비한다.
고승범 위원장은 “연구원장의 제언을 종합하면 견고한 금융안정 유지와 생산적 혁신·경쟁 유도, 차세대 신산업 분야의 자금흐름 확대, 포용금융 강화 등으로 요약된다”며 “적극적으로 반영해 내년도 금융정책을 구체화해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고 위원장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 “지난 2년 동안 전례없는 경제충격 발생에도 금융시스템이 빠르게 회복됐고 자영업자·중소기업의 유동성 애로도 상당 부분 완화됐다”며 “다만 이런 회복 과정이 코로나19 발생 이전으로의 단순 회귀를 의미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우리의 대처방식과 준비상황에 따라 향후 우리 경제와 금융산업의 10년 뒤 모습은 완전히 달라질 것이다”며 “앞으로도 금융위가 현실을 인식하고 올바른 정책방향을 수립하면서 정책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조언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