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크기를 줄이고 보안성을 높인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eSIM)을 개발했다.
LG유플러스는 ICTK홀딩스와 함께 '물리적 복제 방지기능(PUF)'이 탑재된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은 반도체의 미세구조 차이를 이용한 물리적 복제방지기술과 가입자 인증기능이 탑재돼 보안성이 높다고 LG유플러스는 설명했다.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에 인증키와 데이터를 각각 암호화하면 LTE(롱텀에볼루션)망에 접속할 때 가입자를 인증할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서버 사이 ‘엔드투엔드(End-to-End)’ 보안을 강화할 수도 있다.
이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은 크기도 작아 웨어러블(착용할 수 있는) 및 산업용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자동차전자부품협의회의 AEC-Q100인증도 획득해 차량에도 사용할 수 있다.
크기는 6㎟로 스마트폰에 사용하는 나노유심의 18분의 1 크기다.
LG유플러스는 앞으로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을 공공분야에 확산시키기 위해 국가공인 보안인증인 암호모듈검증(K-CMVP) 획득도 추진한다.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담당은 "이번에 개발한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은 가입자 인증 뿐만 아니라 크기가 작으면서도 보안성이 강화돼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LG유플러스는 무선 사물인터넷(IoT)사업에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 적용을 확대하는 등 보급을 늘리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영찬 기자]
LG유플러스는 ICTK홀딩스와 함께 '물리적 복제 방지기능(PUF)'이 탑재된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 LG유플러스는 ICTK홀딩스와 함께 '물리적 복제 방지기능(PUF)'이 탑재된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사진은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오른쪽 위에서 첫번째, 두번째 칩)과 일반 나노유심, 동전의 크기를 비교한 모습. < LG유플러스 >
이번에 개발한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은 반도체의 미세구조 차이를 이용한 물리적 복제방지기술과 가입자 인증기능이 탑재돼 보안성이 높다고 LG유플러스는 설명했다.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에 인증키와 데이터를 각각 암호화하면 LTE(롱텀에볼루션)망에 접속할 때 가입자를 인증할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서버 사이 ‘엔드투엔드(End-to-End)’ 보안을 강화할 수도 있다.
이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은 크기도 작아 웨어러블(착용할 수 있는) 및 산업용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자동차전자부품협의회의 AEC-Q100인증도 획득해 차량에도 사용할 수 있다.
크기는 6㎟로 스마트폰에 사용하는 나노유심의 18분의 1 크기다.
LG유플러스는 앞으로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을 공공분야에 확산시키기 위해 국가공인 보안인증인 암호모듈검증(K-CMVP) 획득도 추진한다.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담당은 "이번에 개발한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은 가입자 인증 뿐만 아니라 크기가 작으면서도 보안성이 강화돼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LG유플러스는 무선 사물인터넷(IoT)사업에 초소형 내장형 가입자식별모듈 적용을 확대하는 등 보급을 늘리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영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