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섭 한국석유공사 사장이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사업과 관련해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고 사업에 속도를 낼 수 있을까?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사업은 기존 동해 가스전시설을 친환경발전소로 바꿔내는 상징성이 있는 만큼 김 사장은 주민들과 소통 및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데 적극 나설 것으로 보인다.
 
[오늘Who] 석유공사 울산 해상풍력 고전, 김동섭 어민 설득 시험대

▲ 김동섭 한국석유공사 사장.


25일 석유공사와 에너지업계의 말을 종합하면 석유공사가 울산 해상에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사업에 속도를 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는 회의를 열고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사업 허가를 위한 심의를 보류하기로 결정했다. 전기위원회는 지역 수용성 높이기를 위해 재심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석유공사는 2022년 생산이 종료되는 동해 가스전을 활용해 200MW급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26년에 전력을 생산한다는 목표로 세우고 올해 5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뒤 8월 전기위원회에 발전사업 인가를 신청했다.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사업은 기존 동해-1 가스전 시설물을 재활용하는 만큼 적은 비용으로 친환경에너지 발전소를 조성할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일부 어민들은 발전시설 설치로 조업구역이 축소될 수 있고 해양환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해 반발하고 있다. 울산지역 어민단체 4개 가운데 3개가 사업에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전기위원회에서 주민들의 수용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심의보류가 결정돼 김 사장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김 사장은 앞으로 주민들에게 자세히 설명하고 소통할 수 있는 설명회를 자주 열고 발전소 이익을 배분하는 주민이익공유제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김 사장은 10월 열린 국정감사에서 울산 해상풍력발전사업과 관련해 “주민 수용성과 관련해 어민 의견을 충분히 들을 것이며 이익공유제 등도 고려하고 있다”며 “주민·어업인과 함께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사업은 석유만 다뤄왔던 석유공사가 정부의 탄소중립정책에 발맞춰 친환경에너지로 사업을 확장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김 사장은 올해 6월 석유공사 사장으로 취임하면서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에너지사업의 실행력을 강화하겠다”며 “신재생에너지로 신성장동력 확보에 적극 나서겠다”는 뜻을 내보였다.

7월에는 동해 가스전을 방문해 “수명을 다하고 있는 동해 가스전은 신재생에너지체제로 대전환에 맞춰 재활용할 수 있는 기회와 역할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인근 어민단체들 사이 법적분쟁이 발생하는 등 주민갈등이 심화되고 있어 김 사장의 고심이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지난달 울산 해상풍력발전사업 반대어업인대책위원회는 민간기업으로부터 상생자금을 받은 어민단체인 해상풍력발전사업 어민대책위원회를 울산해경에 고발했다.

반대어업인대책위원회는 어민대책위원회가 대표성이 없는데도 사업시행자로부터 보상금을 수령해 일부 어민들에게 지급하고 소비하는 등 횡령했다고 주장했다.

7월에는 해상풍력발전사업 반대추진위원회가 어민대책위원회를 고소한 데 따라 울산해경이 어민대책위원회 사무실을 압수수색하기도 했다.

김 사장은 6월 석유공사 사장으로 취임했다. 서울대학교에서 조선공학 석사를 취득한 뒤 미국 오하이오주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글로벌 석유기업 쉘에서 약 20년간 연구원·아시아태평양지역 매니저로 근무했고 이후 SK이노베이션 기술원장 및 기술총괄 사장, 울산과학기술원 정보바이오융합대학장을 지내 석유산업 전문가로 꼽힌다.

일각에서는 김 사장이 공학을 전공한 석유산업 전문가로 석유공사 미래사업의 틀을 잡아나가겠지만 주민 사이에 법적분쟁까지 벌어지는 상황에서 주민들과 소통하며 합의를 이끄는 일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시선이 나온다. [비즈니스포스트 은주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