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CNS가 시스템 클라우드 역량을 입증했다.
LGCNS는 최근 대한항공의 정보기술(IT)시스템을 아마존웹서비스(AWS) 공개형(퍼블릭) 클라우드로 완전히 전환했다고 21일 밝혔다.
대한항공이 회사 전체 정보기술시스템을 퍼블릭 클라우드로 전환한 것은 세계 대형항공사 가운데 최초다.
LGCNS는 2018년 11월 대한항공 아마존웹서비스 클라우드 전환업무 계약을 맺은 지 3년 만에 클라우드 전환을 완수했다.
LGCNS는 대한항공 정보기술 시스템을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2곳으로 분리했다. 이를 통해 한 곳에서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클라우드에서 즉시 동일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LGCNS는 국내에서 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대비해 해외에도 재해복구(DR) 클라우드를 별도로 구축했다.
LGCNS는 애플리케이션 200여 개로 구성된 대한항공의 정보기술시스템을 하루도 중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전환했다. 대한항공 정보기술 시스템 전환 차수를 10여 차례로 구분한 뒤 클라우드 환경에서 기능 테스트, 성능 점검, 전환 시나리오 수립, 리허설 등을 수행했다.
대한항공은 이번 클라우드 전환을 통해 항공 수요 예측, 여객서비스, 예약·발권시스템 편의성, 기상예측 정확도 등 고객서비스를 강화한다.
김태훈 LGCNS 클라우드사업담당 상무는 “LGCNS는 아마존웹서비스, 마이크로서비스, 구글 등 글로벌 클라우드서비스 제공업체(CSP)와 파트너십을 통해 ‘퍼블릭 클라우드 퍼스트’ 전략을 펼치고 있다”며 “국내기업들의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전환(DX)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구광선 기자]
LGCNS는 최근 대한항공의 정보기술(IT)시스템을 아마존웹서비스(AWS) 공개형(퍼블릭) 클라우드로 완전히 전환했다고 21일 밝혔다.

▲ LGCNS 모델이 대한항공 클라우드 중앙관제센터(커맨드센터)에서 퍼블릭 클라우드 전환 완료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LGCNS >
대한항공이 회사 전체 정보기술시스템을 퍼블릭 클라우드로 전환한 것은 세계 대형항공사 가운데 최초다.
LGCNS는 2018년 11월 대한항공 아마존웹서비스 클라우드 전환업무 계약을 맺은 지 3년 만에 클라우드 전환을 완수했다.
LGCNS는 대한항공 정보기술 시스템을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2곳으로 분리했다. 이를 통해 한 곳에서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클라우드에서 즉시 동일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LGCNS는 국내에서 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대비해 해외에도 재해복구(DR) 클라우드를 별도로 구축했다.
LGCNS는 애플리케이션 200여 개로 구성된 대한항공의 정보기술시스템을 하루도 중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전환했다. 대한항공 정보기술 시스템 전환 차수를 10여 차례로 구분한 뒤 클라우드 환경에서 기능 테스트, 성능 점검, 전환 시나리오 수립, 리허설 등을 수행했다.
대한항공은 이번 클라우드 전환을 통해 항공 수요 예측, 여객서비스, 예약·발권시스템 편의성, 기상예측 정확도 등 고객서비스를 강화한다.
김태훈 LGCNS 클라우드사업담당 상무는 “LGCNS는 아마존웹서비스, 마이크로서비스, 구글 등 글로벌 클라우드서비스 제공업체(CSP)와 파트너십을 통해 ‘퍼블릭 클라우드 퍼스트’ 전략을 펼치고 있다”며 “국내기업들의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전환(DX)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구광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