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회사들이 금융불균형 완화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13일 조영현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금융불균형 완화정책과 보험산업'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이후 전례 없는 과감한 유동성 공급정책으로 금융안정성은 높아졌으나 금융불균형이 심화됐다고 짚었다.
금융불균형은 위험선호 강화에 따른 과도한 레버리지 확대 및 자산가격 상승을 의미한다.
정부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금융불균형 완화정책을 펼치고 있다.
조 연구위원은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총량관리를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은행도 금융불균형 완화에 비중을 두고 기준금리를 단계적으로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고 바라봤다.
조 연구위원은 "금융불균형 완화정책은 자금흐름과 자산의 가격 및 리스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보험회사는 저축성 및 투자성 보험의 수요, 자산운용 및 자본관리 측면에서 대응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변액보험 수요는 감소할 가능성이 높고 대출제약에 따른 해지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저축성보험 수요는 변화가 미미할 것으로 전망됐다.
조 연구위원은 "보험사들이 기대수익률 제고를 위해 최근 수년간 확대했던 운용자산의 신용리스크를 축소하고 장기 국공채 비중을 확대할 시기로 보인다"며 "가계대출은 신용대출 위험요소(리스크)를, 기업대출은 취약기업의 상환능력을 주의 깊게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더해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응해 해외 대체투자 위험요소도 고려해야 한다고 봤다.
조 연구위원은 금리상승에 따라 보험회사 지급여력비율(RBC)이 전반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건전성 제고가 필요한 보험회사들은 자본성 증권 발행을 신속하게 추진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공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