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에 이어 산업통상자원부도 국내 인공지능사업 육성을 위해 투자를 늘린다.
정부가 국내 인공지능사업 육성을 위해 지원책을 내놓는 것은 긍정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걸음마 수준인 국내 인공지능사업을 제대로 키우려면 사업을 이끌 주체부터 확실히 세워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
|
|
▲ 이관섭 산업통상자원부 제 1차관이 1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인공지능 응용·산업화 전문가 간담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
이관섭 산업통상자원부 제 1차관은 14일 서울 코엑스에서 학계와 산업계 등에 포진한 인공지능 전문가들과 '인공지능 응용·산업화 전문가 간담회'을 열었다.
이 차관은 국내 인공지능사업 발전을 위해 산자부가 연간 200억 원 이상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지난해 관련 사업에 투자했던 금액보다 약 60억 원 투자를 늘리기로 했다.
이 차관은 "인공지능사업은 각국이 이제 막 걸음마를 뗀 상태"라며 "국내도 정부가 투자를 강화하면 금방 선진국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선진국의 경우에도 인공지능을 응용한 산업화가 아직 초기단계이며 발전의 여지가 크다”며 “향후 이 분야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과감한 규제완화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산자부는 특히 로봇 분야와 자율주행차, 드론(무인항공기) 등을 산업화할 수 있는 방안을 집중 발굴하기로 했다. 또 인공지능을 응용한 사업영역을 스마트공장과 보안, 의료지원서비스 등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산자부는 ‘인공지능 응용·산업화 추진단’도 조만간 설립하기로 했다.
추진단은 향후 5년간 인공지능의 응용과 사업화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고 사업과제를 찾아내기로 했다. 또 각종 기술적 규제를 찾아내 이를 개선하는 것도 추진단이 맡기로 했다.
산자부는 산업계와 학계, 연구기관 등에서 전문가를 선발해 추진단을 구성하고 단장은 학계나 정부기관 인사가 아닌 민간 인공지능 전문가로 선임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정부가 늦었지만 국내 인공지능사업 육성을 위해 지금이라도 투자를 결정한 것은 잘한 일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반면 정부의 각 부처가 제대로 된 협의없이 앞다퉈 지원안을 내놓고 있는 데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국내 사정상 인공지능사업에 쓸 수 있는 예산이 한정됐다는 점에서 각 부처간 혼재돼 있는 인공지능 관련사업을 한 곳이 집중해 육성할 수 있도록 교통정리를 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것이다.
산자부에 앞서 미래부도 올해 인공지능사업 지원을 위해 예산 300억 원을 책정해 놓았고 최양희 미래부 장관이 인공지능사업 연구기관을 세우겠다고 최근 약속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산자부와 미래부가 인공지능 발전을 위해 쓰겠다고 밝힌 예산을 합치면 500억 원 수준인데 이는 2400억 원가량을 이 사업에 쏟아붓는 미국의 5분의1 수준밖에 안 된다”며 “사업을 담당하는 정부부처가 갈릴 경우 혼선만 초래할 수 있고 빠듯한 예산마저 효율적으로 집행되기 힘들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서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