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주요 신흥국가들 가운데 가계부채 부담을 가장 많이 짊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제결제은행(BIS)에서 발표한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가계부채 규모는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87.2%에 해당한다. 조사 대상인 신흥국가 17개 가운데 국내총생산과 비교한 가계부채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
|
|
▲ 8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3분기 국내총생산 규모에서 가계부채의 비중이 87.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 |
2위인 태국의 가계부채는 전체 국내총생산 규모와 비교해 70.8%에 이르렀다. 말레이시아(70.4%), 홍콩(67.0%), 싱가포르(60.8%) 등도 가계부채 부담이 큰 신흥국가로 꼽혔다. 중국의 가계부채 규모는 국내총생산의 38.8% 수준으로 집계됐다.
한국은 국제결제은행에서 조사하는 신흥국가의 국내총생산 대비 가계부채 비율 순위조사에서 13년째 1위를 지키고 있다.
한국은 2000년에 전체 국내총생산과 비교한 가계부채의 비율이 50%대에 들어섰다. 2002년 2분기 이 비율이 62.5%로 치솟아 신흥국가 1위로 올라섰다. 그 뒤에도 2위권 신흥국가들과 격차를 계속 벌리고 있다.
국제결제은행은 선진국으로 분류한 24개 국가의 국내총생산 대비 가계부채의 비율도 조사했다. 이 결과를 합치면 한국은 41개 국가 가운데 8번째로 국내총생산 규모와 비교한 가계부채의 비율이 높다.
한국보다 국내총생산 대비 가계부채의 비율이 높은 국가는 스위스(124.2%), 호주(123.1%), 덴마크(122.9%), 네덜란드(111.4%), 캐나다(96.0%), 노르웨이(93.0%), 뉴질랜드(91.3%) 등이다. 이 나라 가운데 스위스, 덴마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등은 마이너스 금리가 적용되고 있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지난해 3분기 이후에도 급증해 최근 1200조 원을 돌파했다. 올해 들어 수출, 소비, 투자 등이 동반 부진에 빠지면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것이라는 예상도 제기되고 있다. 이 경우 가계부채가 더욱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결제은행도 보고서를 통해 “최근 몇 년 동안 이어진 저금리는 대출을 갚지 못할 가능성이 큰 고위험대출자도 이전보다 쉽게 돈을 빌릴 수 있도록 만들었다”며 “2014년 중반 이후 금융시장에 불안이 퍼지면 고위험 대출자들이 유례없는 압력을 받게 됐다”고 분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