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생명이 종신보험 등 보장성보험의 판매 확대에 힘입어 지난해 순이익을 늘렸다.
한화생명은 지난해에 순이익 5003억 원을 냈다고 22일 밝혔다. 2014년보다 21% 증가했다.
한화생명은 지난해 수입보험료 14조9600억 원을 거둬 2014년보다 수입보험료가 9.5% 늘어났다. 수입보험료는 보험사의 실질적인 매출이다.
▲ 차남규 한화생명 사장. |
보장성보험은 종신보험이나 CI보험처럼 가입자의 생명에 관련된 사고에 대해 약속한 돈을 지급하는 보험상품이다. 중도 해약이나 만기를 맞이했을 때 고객에게 돌려줄 보험금이 납입된 보험료를 넘지 않아 수익을 안정적으로 낼 수 있다.
한화생명은 지난해에 새로 체결한 신계약 연납화보험료(APE) 2조4940억 원을 올려 2014년보다 신계약 연납화보험료가 14.4% 증가했다. 특히 보장성보험에서 지난해 연납화보험료 1조390억 원을 거뒀다. 연납화보험료가 2014년보다 10.5% 늘었다.
연납화보험료는 보험료 납입기간이 1개월이나 1분기인 상품을 연간 기준으로 환산해 나타낸 지표다. 보험사가 새로운 가입자를 받았을 때 수익성을 알아보는 기준으로 쓰인다.
한화생명은 지난해에 보장성보험에서 수익률 42%를 기록했다. 연금보험과 저축성보험에서는 29%의 수익률을 보였다.
지난해 고객에게 지급한 보험금 등 보험영업에 들어간 비용도 줄이는 데 성공했다.
한화생명은 지난해에 사업비율 13.7%를 내 2014년보다 사업비율이 2.4%포인트 개선했다. 이 기간에 손해율은 79.4%로 2014년보다 1%포인트 떨어졌다. 사업비율과 손해율은 보험영업에서 이익을 많이 낼수록 하락한다.
전체 보험상품 가입자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525만 명으로 증가했다. 2014년보다 4만4천 명 늘었다.
지난해 전체자산은 98조8550억 원으로 2014년보다 7.9% 늘어났다.
김현철 실장은 “올해는 재무설계사(FT) 채널의 능률을 끌어올리고 보험산업 규제 완화에 따라 차별화된 상품을 만드는 데 온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한화생명은 자산운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투자전략실을 확대 개편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며 “국제회계기준(IFRS4) 2단계 도입에 대비해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겠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