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자동차가 2020년 환경부의 보급목표만큼 저공해차를 판매하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17일 환경부에 따르면 환경부가 지정한 저공해차 보급목표제도 대상기업 10곳의 2020년 보급실적을 조사한 결과 르노삼성차를 제외하고 모두 보급목표를 초과했다.
현행법상 저공해차는 1종인 전기·수소차, 2종인 하이브리드차 3종인 저공해차 배출허용기준에 맞는 액화석유가스(LPG)차와 휘발유차 등으로 나뉜다.
조사대상 기업은 최근 3년 동안 승용차 및 승합차의 연평균 판매수량이 4500대가 넘는 판매자로 현대자동차와 기아, 한국GM, 르노삼성차, 쌍용차, 메르세데스-벤츠, BMW, 토요타, 아우디폭스바겐, 혼다 등 10개 회사다.
환경부는 2005년부터 수도권 지역에서 시행하던 '저공해차 보급목표제도'를 2020년에 전국으로 확대하면서 올해 처음으로 보급실적을 조사했다.
저공해차 보급목표제 대상기업 10곳은 2020년 환산실적을 기준으로 모두 32만8천여 대의 저공해차를 보급한 것으로 집계됐다.
환경부는 저공해차종에 따라 환산점수를 적용해 보급실적을 산출했다. 1종은 1.2~3점, 2종은 0.6~1.2점, 3종은 0.6점 등의 가중치가 적용됐다.
2020년 보급목표는 2016~2018년간 연평균 판매량의 15%(22만4047대)였지만 10곳이 실제 2020년에 판매한 저공해차는 22% 수준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업별 저공해차 환산실적은 현대차가 15만7238대로 가장 많았고, 기아가 8만116대로 2위, BMW(2만727대), 쌍용차(1만9622대), 한국GM(1만9601대), 메르세데스-벤츠(1만282대), 토요타(1만838대), 르노삼성차(5227대), 혼다(1339대) 순서였다.
목표를 얼마나 초과했는지를 기준으로는 토요타가 43.7%로 가장 높았고 BMW가 33.4%로 2위, 현대차( 29.2%), 쌍용차(25.8%), 기아(17.1%), 혼다(16.9%), 메르세데스-벤츠(15.7%), 한국GM(15.5%) 순으로 보급목표를 달성했다. 르노삼성차는 5.0%에 그쳤다.
차종별 분포는 1종 전기·수소차가 6만7천 대(4.5%), 2종 하이브리드차가 11만4천 대(7.6%), 3종 액화석유가스(LPG)·휘발유차가 14만8천 대(9.9%)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자동차 판매사들의 무공해차(전기·수소차) 보급을 늘리기 위해 전문가, 관련 협회 등과 협의를 거쳐 2021~2022년 보급목표를 상향하기로 결정했다.
저공해차 보급목표는 2021년 18%, 2022년 20%로 단계적으로 높이고 무공해차 보급목표도 별도로 신설해 판매규모에 따라 2021년 4~10%, 2022년 8~12%로 회사마다 차등 목표를 부과하기로 했다.
10곳의 2021년에 환산실적 기준으로 저공해차는 44만8천여 대(31%), 무공해차는 20만3천여 대(14%)를 보급할 계획으로 조사됐다.
특히 2020년 12월 대기환경보전법이 개정됨에 따라 2023년부터 보급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기업은 기여금을 납부해야 한다.
기여금의 구체적 수준과 부과방안은 관계부처와 업계, 전문가 등이 참여해 논의를 거쳐 올해 하반기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김승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올해 무공해차 보급목표가 신설됨에 따라 저공해차 보급목표제도가 수송부문 탄소중립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환경부는 업계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합리적 제도 이행방안을 마련하고 저공해차 보급목표제가 원활히 안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
17일 환경부에 따르면 환경부가 지정한 저공해차 보급목표제도 대상기업 10곳의 2020년 보급실적을 조사한 결과 르노삼성차를 제외하고 모두 보급목표를 초과했다.
▲ 환경부 로고.
현행법상 저공해차는 1종인 전기·수소차, 2종인 하이브리드차 3종인 저공해차 배출허용기준에 맞는 액화석유가스(LPG)차와 휘발유차 등으로 나뉜다.
조사대상 기업은 최근 3년 동안 승용차 및 승합차의 연평균 판매수량이 4500대가 넘는 판매자로 현대자동차와 기아, 한국GM, 르노삼성차, 쌍용차, 메르세데스-벤츠, BMW, 토요타, 아우디폭스바겐, 혼다 등 10개 회사다.
환경부는 2005년부터 수도권 지역에서 시행하던 '저공해차 보급목표제도'를 2020년에 전국으로 확대하면서 올해 처음으로 보급실적을 조사했다.
저공해차 보급목표제 대상기업 10곳은 2020년 환산실적을 기준으로 모두 32만8천여 대의 저공해차를 보급한 것으로 집계됐다.
환경부는 저공해차종에 따라 환산점수를 적용해 보급실적을 산출했다. 1종은 1.2~3점, 2종은 0.6~1.2점, 3종은 0.6점 등의 가중치가 적용됐다.
2020년 보급목표는 2016~2018년간 연평균 판매량의 15%(22만4047대)였지만 10곳이 실제 2020년에 판매한 저공해차는 22% 수준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업별 저공해차 환산실적은 현대차가 15만7238대로 가장 많았고, 기아가 8만116대로 2위, BMW(2만727대), 쌍용차(1만9622대), 한국GM(1만9601대), 메르세데스-벤츠(1만282대), 토요타(1만838대), 르노삼성차(5227대), 혼다(1339대) 순서였다.
목표를 얼마나 초과했는지를 기준으로는 토요타가 43.7%로 가장 높았고 BMW가 33.4%로 2위, 현대차( 29.2%), 쌍용차(25.8%), 기아(17.1%), 혼다(16.9%), 메르세데스-벤츠(15.7%), 한국GM(15.5%) 순으로 보급목표를 달성했다. 르노삼성차는 5.0%에 그쳤다.
차종별 분포는 1종 전기·수소차가 6만7천 대(4.5%), 2종 하이브리드차가 11만4천 대(7.6%), 3종 액화석유가스(LPG)·휘발유차가 14만8천 대(9.9%)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자동차 판매사들의 무공해차(전기·수소차) 보급을 늘리기 위해 전문가, 관련 협회 등과 협의를 거쳐 2021~2022년 보급목표를 상향하기로 결정했다.
저공해차 보급목표는 2021년 18%, 2022년 20%로 단계적으로 높이고 무공해차 보급목표도 별도로 신설해 판매규모에 따라 2021년 4~10%, 2022년 8~12%로 회사마다 차등 목표를 부과하기로 했다.
10곳의 2021년에 환산실적 기준으로 저공해차는 44만8천여 대(31%), 무공해차는 20만3천여 대(14%)를 보급할 계획으로 조사됐다.
특히 2020년 12월 대기환경보전법이 개정됨에 따라 2023년부터 보급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기업은 기여금을 납부해야 한다.
기여금의 구체적 수준과 부과방안은 관계부처와 업계, 전문가 등이 참여해 논의를 거쳐 올해 하반기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김승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올해 무공해차 보급목표가 신설됨에 따라 저공해차 보급목표제도가 수송부문 탄소중립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환경부는 업계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합리적 제도 이행방안을 마련하고 저공해차 보급목표제가 원활히 안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