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더불어민주당에서 이 지사의 지지도 교착상황을 놓고 본선 경쟁력에 의심을 제기하며 이 지사를 견제하는 움직임이 늘고 있다.
대선 출마를 밝힌 박용진 민주당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당의 1위 주자인 이 지사는 윤 전 총장과 양자대결에서 지는 모습이 나타나고 지지율이 일정한 박스권에 갇혀 있다”며 이 지사보다 중도 확장성이 크고 본선 경쟁력이 높다고 강조했다.
여론 조사기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6월 2주차 다음 대선후보 적합도를 조사한 결과 이 지사는 27.7%의 응답을 받았다. 윤 전 총장은 35.5%로 집계됐다.
두 사람의 격차는 지난주 조사에서 오차범위 안인 5.0%포인트였는데 이번주 오차범위 밖인 7.8%포인트로 벌어졌다.
1월 같은 여론조사에서 이 지사는 26.2%의 지지를 받았다. 몇 달째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당시 윤 전 총장의 지지도는 14.6%로 이 지사에 뒤처졌는데 지금은 오히려 이 지사를 앞서고 있다. 이 지사의 지지도가 박스권에 갇혀 있다는 지적이 틀린 얘기만은 아닌 셈이다.
국민의힘의 세대교체 바람도 이 지사에게 적잖이 신경 쓰이는 부분이다. 국민의힘이 전당대회에서 30대 이준석 대표를 선출하는 등 변화의 모습을 보이며 민심을 얻고 있다.
이런 분위기는 야권 대선주자인 윤 전 총장의 지지도 상승세로도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아직 정계진출을 본격화하지도 않았는데 혜택을 누리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멀어지고 있는 민심을 잡을 만한 반전의 계기를 아직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당의 지지도나 호감도가 대선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이 지사로서도 민주당의 부진은 간과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현재 이 지사는 민주당의 대선후보 경선에서 가장 경쟁력 높은 후보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의 범여권 인물만 따로 조사한 다음 대선후보 적합도를 보면 이 지사는 31.6%로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15.0%), 박용진 의원(6.1%),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5.5%), 정세균 전 국무총리(4.2%)를 상당한 격차로 앞서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본선 경쟁력이다. 야권의 선두 대선주자와 격차가 벌어지며 본선 경쟁력에 관한 의심이 싶어지면 이 지사의 대선가도에 빨간불이 켜질 수 있다.
문제는 이 지사의 운신의 폭이 넓지 않다는 점이다.
본선 경쟁력을 높이려면 중도층으로 지지 외연을 넓혀야 하지만 자칫 중도층에 다가서려 하다가 민주당 주류나 기존 지지층의 마음을 상하게 할 수도 있다.
민주당의 이른바 ‘집토끼’들은 부동산정책 방향 전환 등 쟁점 사안들을 놓고 중도층과 충돌하는 부분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당내 선주주자인 이 지사를 놓고 나머지 주자들의 공격과 견제가 집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당내 핵심 지지기반의 뜻을 거스르는 것은 이 지사로서도 위험을 안는 일이다.
그렇다고 본선 경쟁력을 높이는 문제를 무작정 뒤로 미뤄둘 수도 없다.
본선 경쟁력이 약하다는 당내 인식이 많아지면 이 지사의 '경선 대세론'조차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 지사 측이 당내에서 고개를 드는 ‘경선연기론’에 강하게 반발하는 데는 하루빨리 경선을 끝낸 뒤 본선에 집중해야 하는 사정도 있다고 본다.
당내 대선후보로 확정되면 지지층의 눈치를 덜 봐도 돼 외연 확장에 본격적으로 나설 수 있어 하루 속히 경선을 끝낼 필요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 지사 측은 경선연기론을 두고 ‘원칙을 훼손하는 제 살 깎아먹기’라고 반발하며 향후 경선연기론이 계속 제기되면 강하게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이 지사는 일단 경제, 공정, 정의, 민생 등 중도층과 기존 지지층이 충돌하지 않는 분야에서는 보폭을 넓히고 있다.
반시장적이라는 일각의 비판을 불식하기 위해 경제성장 쪽에도 초점을 맞춰가고 있다.
최근 현대차그룹을 방문해 정의선 회장 등 경영진과 미래차에 관한 대화를 나누고 자율주행차와 수소버스 체험을 하는 등 경제행보를 했다.
또 측근들과 경제 성장 담론을 준비하며 경제정책을 보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사회의 정의를 세우는 문제에도 계속해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 지사는 14일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법률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열고 “이른바 성착취물 문제 등 디지털성범죄와 관련해 그동안 단순한 개인의 피해란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했는데 ‘n번방 사태’ 이후로는 매우 중대한 인권침해범죄, 중대범죄란 인식이 매우 강해졌다”며 “좀 더 신속하게 실질적 예방과 구제, 보호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