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주의가 은행권에서 자리를 잡으려면 객관적인 성과평가체계부터 먼저 확립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재은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17일 ‘은행권 성과주의 도입의 영향과 전망’ 보고서에서 “금융위원회에서 최근 발표한 ‘금융공공기관 성과중심문화 확대 방향’을 통해 장기적으로 민간은행에도 성과주의를 도입하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
|
|
▲ 임종룡 금융위원장. |
이 연구원은 “금융위가 그동안 사회적 갈등을 덜 일으키는 ‘착한 개혁’을 추진했던 반면 은행권에 대한 성과주의 도입에는 ‘거친 개혁’을 예고했다”며 “성과주의 도입의 핵심사안인 성과연봉제 전환에 은행 노동조합이 반발하고 있어 험로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은행 노조의 반발을 줄이기 위해서는 공신력 있는 평가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성과주의 임금체계 개편의 성패는 노사가 모두 납득할 수 있는 객관적인 성과평가체계의 확립에 달려 있다”며 “특히 보상체계는 인사전략의 핵심인 만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성과평가체계 구축의 주요 쟁점으로 직무가치와 특성의 반영, 개인성과의 산정 기준, 성과의 차등폭 등을 들었다.
이 연구원은 “평가체계를 만든 뒤에도 평가자 교육과 자질에 따른 상벌, 성과목표 설정, 목표 달성과정에서 노동자의 참여 확대 등 평가체계에 대한 직원들의 신뢰도를 높이려는 노력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금융공공기관 성과중심문화 확대 방향’은 IBK기업은행 등 9개 금융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적용된다. 이 제도는 전체 급여에서 성과급의 비중을 20~30%선까지 늘리는 등 성과연봉제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은행권은 대부분 연차에 따라 급여도 오르는 호봉제를 채택해 왔다. 시중은행을 비롯한 금융권은 2014년 기준으로 전체 급여의 91.8%를 호봉제로 산정했다. 전체 산업의 평균 호봉제 비율 60.2%보다 훨씬 높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지난해 말 “지금까지 했던 금융개혁은 누구나 공감하고 크게 반대하지 않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착한 개혁’이었다”며 “앞으로 ‘거친 개혁’을 마다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