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춘 인천시장이 인천을 ‘친환경특별시’로 만들기 위해 바삐 움직이고 있다. 

인천시는 한강 하구로 흘러내려오는 해양쓰레기와 서울·경기도에서 수도권매립지로 반입되는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인천 '친환경특별시' 출발은 쓰레기 독립, 박남춘 해법 마련에 분주

박남춘 인천시장.


박 시장은 31일 ‘바다의 날’을 맞이해 ‘해양쓰레기 저감 종합계획(2021~2025)’을 발표했다.

인천시는 3월부터 환경특별시추진단을 중심으로 청정해양 프로젝트 태스크포스(TF), 전문가단체가 함께 이번 계획을 입안해 왔다.

이는 한강과 해외로부터 유입되고 있는 쓰레기로 심각해지고 있는 인천의 해양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박 시장이 추진하고 있는 ‘환경특별시 인천’ 행보의 일부이기도 하다. 

인천시는 이번 계획을 통해 2025년까지 1120억 원을 투입해 해양쓰레기도 생활폐기물과 같은 수거·운반·처리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인천시의 해양쓰레기는 해마다 늘고 있어 수거량도 같이 늘고 있다. 시는 수거사업을 통해 2018년에는 4590톤, 2019년에 5540톤, 2020년에 6589톤에 이르는 해양쓰레기를 수거·처리했다. 

인천 앞바다에는 한강을 통해 쓰레기가 떠내려 오고 있다. 특히 5mm 미만의 미세플라스틱이 하수처리 시설에서 걸러지지 않은 상태로 떠내려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미세플라스틱은 환경호르몬 수치 증가와 암 등 여러 위험질환의 원인이다. 

인천시는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올해 7천 톤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미세플라스틱을 조사하며 △육상쓰레기 해양유입 사전관리를 강화하고 △해양쓰레기 수거·운반체계 개선을 위해 해양환경정화선 건조를 지원하며 △하천·하구쓰레기 정화사업을 확대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박 시장은 ‘쓰레기 발생지 처리원칙’에 따라 자체매립지 조성과 소각장 확보에도 나서고 있다. 인천시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는 자체적으로 처리하겠다는 것이다. 이 원칙은 환경부가 내놓은 2020년 9월 ‘자원순환정책 대전환 계획’에도 포함돼 있다. 

그는 3월4일 옹진군 영흥도를 자체매립지 대상지로 선정했다. 여기에 인천의 폐기물만 처리할 ‘인천에코랜드’ 조성한다.

에코랜드는 영흥면 외리 248-1 일원(89만5000m2)에 조성된다. 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하는 방식이 아닌 폐기물을 소각한 뒤 발생하는 소각재와 불연성폐기물만 매립하는 방식이라 환경친화적이다.

총용량은 234만m2으로 하루 평균 반입량은 161톤 규모다. 이는 인천 서구의 수도권매립지 반입량의 7.4% 수준으로 2019년 기준 수도권매립지의 반입비율 가운데 인천이 21%가량을 차지한다는 점과 소각재와 불연성폐기물만 매립하는 점을 고려하면 적지 않은 규모인 셈이다.  

인천시청 관계자는 “인천에코랜드 조성을 2025년까지 마무리할 계획을 세워뒀다”며 “조성 과정에서 주민들을 설득하고 수용성을 높이며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별도로 박 시장은 친환경 자원순환정책으로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는 노력도 빼놓지 않고 있다. 

그는 올해 38억 원을 투입해 단독·다세대주택에 가정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자체처리할 수 있는 가정용 감량기 2500대 보급을 지원하고 공동주택에는 1대당 150세대가 쓸 수 있는 대형 감량기 80대를 설치하겠다고 4월14일 발표했다. 

음식물쓰레기는 배출과 수거·운반 과정에서 악취와 해충이 발생 할뿐만 아니라 처리 과정에서 폐수가 발생한다. 음식물 감량기를 이용하면 건조·발효 방식으로 수분을 제거해 배출량을 70~80% 줄일 수 있다. 

‘친환경 자원순환 청사 운영’도 본격화했다. 앞서 2월1일 ‘우리청사는 일회용품, 자원낭비, 음식물쓰레기가 없는 자원순환 실천 청사입니다’라는 현판을 시청에 걸었다. 이때부터 시청 내 일회용품 사용과 반입을 전면 금지했다. 

하지만 박 시장은 인천의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경기도와 쓰레기매립지 관련 논의를 매듭짓고 추가 소각장 건설을 위해 주민 반발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인천은 1992년부터 수도권매립지로 쓰레기를 받기 시작했다. 2015년 서울시와 경기도가 함께 매립지 사용 종료 시점을 2016년에서 2025년으로 연장하며 대체 매립지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합의했다. 

다만 서울시는 대체매립지 조성이 어려우면 잔여 부지를 추가 사용한다는 단서 조항을 두고 인천시와 협상을 벌이려 하고 있다. 

박 시장은 올해 초 연합뉴스 신년인터뷰에서 “2015년 합의의 핵심은 3-1공구만 추가 사용하고 매립지 사용을 종료한다는 것이다”며 “매립지 추가 사용은 절대 불가하고 모든 행정·법적 수단을 동원해 매립지 사용 연장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영흥도 주민들이 소각장·매립지 조성에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연수구와 미추홀구도 소각장 신설에 반대하고 있다.

인천시는 중구 남항 소각장을 새로 지어 중구·동구·미추홀구가 이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시는 소각장 등 시설 조성에 4년 정도가 걸리는 만큼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위해 올해 6월까지 소각장 관련 논의를 끝내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연수구와 미추홀구 단체장들은 이웃한 곳에 학교 부지와 택지개발 단지가 있다며 시가 주민들의 의견 수렴없이 후보지를 선정했다고 반발하고 있다. 

인천시청 관계자는 “쓰레기 발생지 처리원칙에 따라 매립지와 소각시설을 확충하고 있다”며 “서울·경기도와 매립지 협상 관련 일정이 구체화된 것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