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CGV 주식 매수의견이 유지됐다.
최근 인기 개봉작이 등장하면 관객 수는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되고 6월 영구전환사채 발행으로 재무구조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26일 CJCGV 목표주가를 3만6천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각각 유지했다.
25일 CJCGV 주가는 2만9600원에 장을 마감했다.
김 연구원은 “온라인 동영상서비스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극장사업은 견고해 (인기)개봉작만 등장하면 관객은 다시 증가할 것이다”며 “2020년의 어려운 환경 속에서 CGV의 비용 절감 노력은 이익률 개선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CJCGV의 국내외 실적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극장 관객 수는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일부 개봉작들이 등장하는 시점에는 관객 수가 정상이었던 시점과 비교해 최대 90% 수준까지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2020년 극장 관객 수는 코로나19에 따른 극장 강제폐쇄 조치 등으로 전년과 비교해 74% 감소했다. 이는 사업환경 변화의 불가항력적 상황에 따른 실적 급감이었다고 판단됐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CJCGV는 별도기준으로도 매출 1조 원을 내 사상 최고 매출을 보여 실적 개선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기대됐다. CJCGV의 연결 자회사들인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법인도 같은 해 최고 실적을 달성하기도 했다.
김 연구원은 “19일 개봉한 미국 할리우드 영화 '분노의 질주'의 글로벌 극장 매출액이 1조 원 수준을 달성하면 아직 개봉날짜를 확정하지 못한 작품들이 개봉하거나 하반기 개봉 예정인 작품들이 조기 상영할 수도 있을 것이다”며 “관객 수만 증가하면 이익률이 개선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CJCGV는 코로나19로 관객 수가 급감한 어려운 환경 속에서 다양한 비용을 절감했다. 2021년 1분기 기준 극장 지점당 판매관리비는 4억8천억 원으로 역대 최저를 보였다. 이는 직전 3개 연도의 50% 수준이다.
CJCGV는 6월8일 3천억 원의 영구전환사채도 발행해 재무구조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2020년 말 기준 부채비율은 1413%이지만 영구전환사채를 발행하면 692%로, 리스부채를 제외하면 지난해 말 기준 665%에서 326%로 각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CJCGV는 2021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2350억 원, 영업이익 22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2020년보다 매출은 111.8%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정혜원 기자]
최근 인기 개봉작이 등장하면 관객 수는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되고 6월 영구전환사채 발행으로 재무구조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 허민회 CJ CGV 대표이사.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26일 CJCGV 목표주가를 3만6천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각각 유지했다.
25일 CJCGV 주가는 2만9600원에 장을 마감했다.
김 연구원은 “온라인 동영상서비스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극장사업은 견고해 (인기)개봉작만 등장하면 관객은 다시 증가할 것이다”며 “2020년의 어려운 환경 속에서 CGV의 비용 절감 노력은 이익률 개선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CJCGV의 국내외 실적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극장 관객 수는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일부 개봉작들이 등장하는 시점에는 관객 수가 정상이었던 시점과 비교해 최대 90% 수준까지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2020년 극장 관객 수는 코로나19에 따른 극장 강제폐쇄 조치 등으로 전년과 비교해 74% 감소했다. 이는 사업환경 변화의 불가항력적 상황에 따른 실적 급감이었다고 판단됐다.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CJCGV는 별도기준으로도 매출 1조 원을 내 사상 최고 매출을 보여 실적 개선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기대됐다. CJCGV의 연결 자회사들인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법인도 같은 해 최고 실적을 달성하기도 했다.
김 연구원은 “19일 개봉한 미국 할리우드 영화 '분노의 질주'의 글로벌 극장 매출액이 1조 원 수준을 달성하면 아직 개봉날짜를 확정하지 못한 작품들이 개봉하거나 하반기 개봉 예정인 작품들이 조기 상영할 수도 있을 것이다”며 “관객 수만 증가하면 이익률이 개선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CJCGV는 코로나19로 관객 수가 급감한 어려운 환경 속에서 다양한 비용을 절감했다. 2021년 1분기 기준 극장 지점당 판매관리비는 4억8천억 원으로 역대 최저를 보였다. 이는 직전 3개 연도의 50% 수준이다.
CJCGV는 6월8일 3천억 원의 영구전환사채도 발행해 재무구조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2020년 말 기준 부채비율은 1413%이지만 영구전환사채를 발행하면 692%로, 리스부채를 제외하면 지난해 말 기준 665%에서 326%로 각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CJCGV는 2021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2350억 원, 영업이익 22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2020년보다 매출은 111.8%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정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