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드팩토가 항암제 후보물질 백토서팁에 관한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메드팩토는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홈페이지를 통해 백토서팁에 관한 임상시험 결과를 담은 초록 2건을 공개했다고 20일 밝혔다.
백토서팁은 메드팩토가 대장암과 다발골수종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화학요법제, 표적항암제, 면역항암제와 병용요법으로 개발하고 있다.
현미부수체안정(MSS)형 대장암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백토서팁과 면역항암제 키트루다를 병용한 임상1b/2a상에서 객관적 반응률(ORR)이 15.2%로 나타났다.
메드팩토는 현재 시판된 대장암 치료제들의 객관적 반응률이 5%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향후 백토서팁의 상용화 가능성이 높다고 바라봤다.
객관적 반응률은 전체 환자 가운데 종양크기 감소와 같은 객관적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환자의 비율을 의미한다.
메드팩토는 6월4일에 최종 포스터를 통해 더 많은 환자가 포함된 임상결과와 전체생존기간(OS) 결과를 공개하기로 했다.
이번 초록에는 다발골수종에 관한 임상결과도 포함됐다.
메드팩토는 다발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백토서팁과 항암제 포말리스트를 병용한 임상1b상을 진행했는데 이 임상에서 암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는 6개월 무진행생존율(PFS)은 80%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포말리스트를 단독사용했을 때 무진행생존율은 20%에 불과했다.
메드팩토는 기존 다발골수종 치료방법으로 사용되는 포말리스트와 스테로이드 계열의 약물 병용에서도 6개월 무진행생존율이 40%에 그친다는 점을 들어 백토서팁과 포말리스트의 병용요법이 다발골수종의 새로운 치료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메드팩토 관계자는 “이번 학회 발표는 키트루다 단독요법으로 극복하지 못한 대장암 치료분야에서 백토서팁의 시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며 “다발골수종 같은 혈액암분야에서도 백토서팁의 안전성, 유효성 등의 경쟁력을 입증할 것이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영찬 기자]
메드팩토는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홈페이지를 통해 백토서팁에 관한 임상시험 결과를 담은 초록 2건을 공개했다고 20일 밝혔다.

▲ 김성진 메드팩토 대표이사.
백토서팁은 메드팩토가 대장암과 다발골수종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화학요법제, 표적항암제, 면역항암제와 병용요법으로 개발하고 있다.
현미부수체안정(MSS)형 대장암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백토서팁과 면역항암제 키트루다를 병용한 임상1b/2a상에서 객관적 반응률(ORR)이 15.2%로 나타났다.
메드팩토는 현재 시판된 대장암 치료제들의 객관적 반응률이 5%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향후 백토서팁의 상용화 가능성이 높다고 바라봤다.
객관적 반응률은 전체 환자 가운데 종양크기 감소와 같은 객관적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환자의 비율을 의미한다.
메드팩토는 6월4일에 최종 포스터를 통해 더 많은 환자가 포함된 임상결과와 전체생존기간(OS) 결과를 공개하기로 했다.
이번 초록에는 다발골수종에 관한 임상결과도 포함됐다.
메드팩토는 다발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백토서팁과 항암제 포말리스트를 병용한 임상1b상을 진행했는데 이 임상에서 암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는 6개월 무진행생존율(PFS)은 80%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포말리스트를 단독사용했을 때 무진행생존율은 20%에 불과했다.
메드팩토는 기존 다발골수종 치료방법으로 사용되는 포말리스트와 스테로이드 계열의 약물 병용에서도 6개월 무진행생존율이 40%에 그친다는 점을 들어 백토서팁과 포말리스트의 병용요법이 다발골수종의 새로운 치료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메드팩토 관계자는 “이번 학회 발표는 키트루다 단독요법으로 극복하지 못한 대장암 치료분야에서 백토서팁의 시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며 “다발골수종 같은 혈액암분야에서도 백토서팁의 안전성, 유효성 등의 경쟁력을 입증할 것이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영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