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이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 급등에 과도한 반응을 경계했다.
이 차관은 13일 기재부 거시경제 금융 점검회의에서 “(미국 소비자물가가)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공급부족과 이연수요 등 경기회복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일시적 요인과 기저효과가 주요 요인이다”며 “우리 경제의 강한 회복세와 단단한 대외신인도 등을 생각하면 과도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주요 경제지표 등이 발표되면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시장 동향과 위험 요인에 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할 때 시장안정조치를 적기에 시행하기 위해 철저히 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2020년 4월과 비교해 4.2% 상승했다. 13년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이 차관은 이날 TBS 라디오 ‘경제발전소 박연미입니다’에 나와 사회자가 ‘금리를 올리기에도, 우리 경기가 과열했다고 진단하기에도 이르다고 보느냐’고 묻자 “그렇다고 봐야 한다”고 대답했다.
그는 “누군가는 인플레이션의 본격적 신호탄이라고 하고 또 다른 누군가는 일시적이라고 한다”며 “반은 기저효과이고 반은 3월보다 0.8% 오른 것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장기적으로 봐야 하는데 그렇지는 않다고 말해 미국에서도 논쟁이 있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2021년 4월 국내 소비자물가가 2.3% 상승한 것을 놓고 “한국도 똑같은 측면이 있다”며 “2020년 4월이 (소비자물가가) 굉장히 낮아 기저효과가 있어서 거시 전체적으로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
이 차관은 13일 기재부 거시경제 금융 점검회의에서 “(미국 소비자물가가)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지만 공급부족과 이연수요 등 경기회복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일시적 요인과 기저효과가 주요 요인이다”며 “우리 경제의 강한 회복세와 단단한 대외신인도 등을 생각하면 과도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 기획재정부 로고.
그는 “향후 주요 경제지표 등이 발표되면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시장 동향과 위험 요인에 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할 때 시장안정조치를 적기에 시행하기 위해 철저히 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2020년 4월과 비교해 4.2% 상승했다. 13년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이 차관은 이날 TBS 라디오 ‘경제발전소 박연미입니다’에 나와 사회자가 ‘금리를 올리기에도, 우리 경기가 과열했다고 진단하기에도 이르다고 보느냐’고 묻자 “그렇다고 봐야 한다”고 대답했다.
그는 “누군가는 인플레이션의 본격적 신호탄이라고 하고 또 다른 누군가는 일시적이라고 한다”며 “반은 기저효과이고 반은 3월보다 0.8% 오른 것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장기적으로 봐야 하는데 그렇지는 않다고 말해 미국에서도 논쟁이 있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2021년 4월 국내 소비자물가가 2.3% 상승한 것을 놓고 “한국도 똑같은 측면이 있다”며 “2020년 4월이 (소비자물가가) 굉장히 낮아 기저효과가 있어서 거시 전체적으로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