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경상남도청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김 지사는 권역별 통합의료벨트를 구축함에 따라 그동안 도민들이 멀리 떨어진 의료기관을 이용해야 하며 겪은 불편이 줄어들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경상남도는 20일 진주경상대학교병원, 창원경상대학교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과 권역별 통합의료벨트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경남을 동부와 중부, 서부 3개 권역으로 나누고 권역별 책임의료기관인 각 국립대병원을 중심으로 필수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권역별 책임의료기관들은 지역 우수병원, 정부지정 지역센터, 보건소, 소방서 등으로 구성한 필수의료협의체를 운영해 권역별 공공보건의료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게 된다.
경남은 단일 시·도 안에 국립대병원 3곳이 있는 유일한 지역이다. 진주경상대병원(서부경남)과 창원경상대병원(중부경남), 양산부산대학교병원(동부경남)이 경남에 고르게 분포돼 있다.
이를 통해 국립대병원을 중심으로 각 권역 내의 공공병원과 민간병원을 체계적으로 조직하고 중증 응급진료 등 필수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권역별 통합의료벨트의 목표다.
김 지사는 권역별 통합의료벨트 구축을 위해 2018년 하반기부터 도정 4개년 계획에 반영해 꾸준히 추진해 왔다. 이번 협약이 3년 동안 기울인 노력의 결과물인 셈이다.
김 지사는 또 하나의 공약인 '서부경남공공병원' 설립절차도 착착 진행하고 있다. 이는 지난 2013년 폐쇄된 진주의료원을 되살리는 일이다.
경남도는 앞서 2월26일 진주 정촌면을 서부경남공공병원 입지로 최종 선정하고 4월7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병원 설립을 위한 용역을 맡겼다. 진흥원은 이번 용역을 통해 오는 8월까지 지역환경 분석, 진료권 설정 및 병상 규모 추정, 설립 및 운영계획 수립 등을 수행한다.
경남도는 용역결과가 나오면 보건복지부에 공공병원 설립계획서를 제출한다. 올해 말부터 복지부 및 개획재정부와 협의를 통해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여부를 결정하고 설계 공모 등을 진행한다.
모든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2023년 시설 공사가 시작돼 이듬해인 2024년 300~500병상 규모의 병원이 문을 연다.
김 지사는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진주의료원이 없다는 것이 얼마나 큰 손실인지 확인할 수 있었다”며 “서부경남공공병원은 서부경남 5개 시군의 공공의료를 책임지는 새로운 거점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앞서 홍준표 무소속 의원은 경남도지사 시절 2013년 "불어나는 적자를 감당할 수 없다"며 진주의료원을 강제 폐업시켰다. 개원 103년 만에 벌어진 일이었다.
진주의료원은 진주시·사천시·남해군·하동군·산청군·거창군·함양군·합천군 등 8개 시·도의 서부경남 지역을 책임지는 지역거점 공공병원이었다. 서부경남은 경상남도에서도 상대적으로 건강 수준이 낮고 의료 서비스의 이용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지역이다.
진주의료원은 민간병원이 수익성이 낮아 피했던 공익적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했다. 지역응급 의료센터를 운영하는 등 높은 질적 수준을 유지했던 공공부문의 2차 의료기관으로 평가받았다. 2차 의료기관은 100개 이상의 병상과 7개 또는 9개 이상의 진료과목, 각 진료과목에 전속하는 전문의를 갖춘 의료기관을 뜻한다.
이런 김 지사의 노력은 외부의 인정을 받기도 했다.
보건복지부는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2019~2020년) 1차년도 시행결과 평가’에서 전국 9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경남도를 최우수상 수상 기관으로 선정했다.
경남도는 △사업운영의 충실성 △지역사회 자원의 효율적 연계·협력 △성과지표 시행 결과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의 적절성 △사업성과 등 모든 평가항목에서 우수한 점수를 받았다.
김 지사는 20일 열린 업무협약식에서 "보건의료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 중요해지고 고령사회에서 역할이 확대될 수밖에 없다"며 "경남도가 공공의료벨트를 구축해 나가는 데 모범지역이 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