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케미칼은 23일 양극재 광양 공장의 4단계 확장을 위한 착공식을 열었다. 이 공사에는 2758억 원이 투입되는데 2023년 가동이 목표다.
이날 행사에는 민경준 포스코케미칼 대표이사 사장, 정대헌 포스코케미칼 에너지소재사업부장, 손동기 포스코케미칼 양극소재실장, 정석모 포스코 2차전지소재사업실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민 사장은 “이번 확장으로 고객사에 최고 품질의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됐다”며 “포스코그룹과 함께 전기차 배터리 원료 밸류체인 구축하고 이와 함께 기술 확보 및 양산능력 확대에 투자를 가속화해 세계 최고 수준의 사업 경쟁력을 갖춰 전기차배터리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증설을 마치면 NCMA 양극재 생산능력은 기존 7만 톤에서 10만 톤으로 확대된다. 이는 60Kwh급 전기차 배터리 약 110만 개를 만들 수 있는 수준이다.
CMA 양극재는 기존 하이니켈 NCM 양극재(니켈, 코발트, 망간을 조합해 만든 양극재)에 알루미늄을 첨가해 만든다.
NCMA 양극재를 쓰면 대용량 배터리를 구현할 수 있어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늘리고 안정성과 출력을 높이는 데 보탬이 된다.
포스코케미칼은 광양 공장의 단계적 증설뿐 아니라 유럽과 중국 등 해외공장 설립도 추진해 글로벌 생산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포스코케미칼은 2030년까지 양극재는 현재 4만 톤에서 40만 톤, 음극재는 4만4천 톤에서 26만 톤까지 생산능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전기차배터리소재시장 점유율을 20%로 끌어올리고 연매출 23조 원을 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