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지원TF는 박근혜 정부 당시 정경유착 의혹을 받아 해체된 삼성 미래전략실을 대신해 2017년 출범했다.
전자와 비전자, 금융 등 3개 부문으로 나뉘어 경영이나 인사 등과 관련한 삼성 계열사의 현안을 조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 준법감시위가 준법경영의 틀 속에서 사업지원TF와 논의하겠다는 것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수감돼 있는 상황과 맞물려 특히 주목된다.
삼성그룹이 지주사체제를 구축하지 않는 한 인사와 자원의 효율적 분배와 그룹 차원의 전략을 위해 별도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말은 나왔지만 미래전략실이 해체된 뒤 컨트롤타워에 대한 공감대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는 시선도 존재했다.
그러나 이 부회장이 수감돼 경영공백이 불가피해지면서 컨트롤타워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삼성 준법감시위가 사업지원TF와 소통창구를 마련하겠다는 것은 사업지원TF가 안고 있는 리스크를 줄이는 한편 컨트롤타워를 공식화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사업지원TF도 준법경영에서 벗어나 있다는 시선도 존재했다. 미래전략실처럼 삼성그룹의 맨 위에서 근거없이 그룹을 지배해왔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웠지만 계열사 경영에 개입한다는 측면에서 준법경영에 합치된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사업지원TF를 이끄는 정현호 사장은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증거인멸 의혹에 연루돼 2019년 6월 검찰조사를 받기도 했다. 검찰은 정 사장을 비롯한 사업지원TF 임원들이 분식회계 수사를 앞두고 관련 증거자료 삭제를 주도했다고 바라봤다.
삼성 준법감시위가 사업지원TF와 소통을 강조하면서도 ‘준법 리스크’에 관한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힌 것도 이런 시선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물론 시민사회에서는 사업지원TF를 아예 해체하고 삼성 계열사의 자율경영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경제개혁연대는 지난해 5월 논평을 통해 “사업지원TF는 과거 미래전략실의 역할을 그대로 이어받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며 “새로운 삼성을 만드는 일은 사장단협의회와 같은 조직이 지원·조정하는 역할을 하되 각 계열사의 경영을 책임지는 이사회를 중심으로 방안을 마련하고 추진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삼성그룹이 지주사체제로 전환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그룹 차원의 전략을 세우고 자원을 배분하기 위해서는 컨트롤타워가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찮다. 과거 미래전략실이 근거없이 설치돼 오너의 이익을 위해 일한 것이 문제일 뿐 컨트롤타워 역할을 무시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특히 전자산업분야는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삼성전기,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등 계열사끼리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어 글로벌에서 경쟁하기 위해서는 전체적 사업전략을 짜는 역할이 당연히 요구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에 따라 삼성 준법감사위가 사업지원TF와 소통을 하는 과정에서 준법경영의 틀 속에서 컨트롤타워를 세우는 방안이 추진될 수 있다는 시선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한상 고려대 경영대 교수는 6일 한 매체와 인터뷰에서 “현재와 같이 사업지원TF가 삼성그룹의 주요 사항을 밀실에서 ‘깜깜이’식으로 결정하는 체제가 아니라 이사회에서 공식적으로 투명하게 통제받는 체제로 탈바꿈하는 것이 방법이다”고 말했다.
사업지원TF가 어떤 형태로든 달라지기 위해서는 이재용 부회장의 결단이 필요한 만큼 컨트롤타워에 대한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이 부회장은 최근 코로나19 대응지침에 따른 격리를 마쳐 삼성 경영진 등 일반인과 접견이 가능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