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은 기업에게 쉽지 않은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의 영향은 새해 하반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위기의 강을 건너 포스트 코로나19를 준비하는 기업들에게는 기회의 문이 활짝 열리겠지만 그렇지 못하면 큰 어려움에 놓일 수 있다.

미국 바이든 대통령의 등장도 북한과 미국 관계, 미국과 중국 관계의 변화를 예고한다. 세계 경제질서도 급변할 수 있다.

서울과 부산시장 보궐선거를 시작으로 대통령선거 국면이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기업에게 불확실성도 커지게 된다.

2021년을 움직일 변수를 중심으로 기업들의 대응을 미리 짚어 본다. <편집자주>

1. 대선 바이든 친환경 그리고 기업 
2. 새틀짜기
3. 그린뉴딜
4. 상생경영
5. 디지털 전환  
문재인 저탄소 그린뉴딜 속도붙여, 기업 친환경 올라타야 살아 남는다

문재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2021년 들어 저탄소 그린뉴딜 정책의 속도를 더욱 붙일 것으로 보인다.

조 바이든 대통령의 미국 행정부가 기후협약에 복귀하면서 대외환경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국내 경제계도 이런 흐름에 발맞춰 친환경산업 확대에 고삐를 틀어쥘 것으로 보인다. 

31일 재계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문재인 정부의 저탄소 그린뉴딜정책과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으로 국내외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이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후위기가 지구촌의 화두가 된 지 오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를 거스르는 정책을 보여 국제적 차원의 기후변화 대응에 어려움이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6월 “파리 기후협약이 미국회사와 노동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한다”며 파리 기후협약 탈퇴를 선언했으며 실제 올해 11월4일 공식적으로 파리기후협약을 탈퇴했다.

그렇지만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자는 정반대로 방향을 잡고 있다. 바이든 당선자는 기후변화 특사를 둘 정도로 적극 대응할 의지를 보이고 있다.

그는 11월5일(현지시각)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위터에 당선되는 즉시 파리기후협약에 복귀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달 12일에는 성명을 내어 “취임 100일 안에 주요 경제국의 정상들과 기후정상회의를 열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은 이미 ‘2050 대한민국 탄소중립 비전’을 발표하고 그린뉴딜 계획을 세워 실행에 들어갔다. 한미 정상이 나란히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 나선 셈이다.

◆ 현대차그룹, 전기차 부문 세계 3위권 노려

국내기업들은 이런 상황 변화에 따라 친환경 트랜드에 대응하기 위해 고삐를 죄고 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2020년 내놓은 ‘주요국의 미래차 관련 정책 및 제도’ 보고서를 보면 미국과 유럽연합 등은 2025년을 목표로 연비를 높이고 배기가스는 줄이는 자동차 기준을 마련했다. 

기준을 지키지 못하면 미국과 유럽연합은 각각 0.04km에 약 5달러, 이산화탄소 배출량 130g/km 초과량 기준 5~95유로의 벌금을 내야 한다. 

당근정책도 마련돼 있다. 미국은 친환경 전기차의 배터리 용량에 따라 최대 7500달러의 세액공제를 해준다. 유럽연합도 국가마다 세금감면과 보조금 혜택 등을 제공한다.

현대기아차도 전기차 생산에 속도를 내고 수소차에도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자동차는 2019년에 ‘2025 전략’을 발표해 2025년까지 현대차를 친환경차분야 세계 3대 회사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2025년까지 배터리 전기차와 수소차를 매년 67만 대(배터리 전기차 56만 대, 수소차 11만 대)씩 세계 시장에 팔겠다는 야심찬 계획도 세웠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61조1천억 원을 투자하고 이 가운데 20조 원을 전동화와 모빌리티, 자율주행 등에 투입한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현대자동차는 전기차와 수소전기차를 판매하는 기업이라 정부의 친환경 저탄소 정책은 회사의 전략과 일치한다”며 “2021년 출시할 전기차 전용 플랫폼(e-GMP) 신차 판매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태양광발전, LNG선박도 전망 밝아
 

친환경 그린뉴딜정책의 핵심사업 가운데 하나인 태양광발전은 한국이 앞서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한화그룹의 한화솔루션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2조8천억 원을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에 투자할 계획을 세웠다. 

한화솔루션은 태양광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을 수소충전소에 공급하거나 충전소용 탱크를 제작하고 물을 전기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한국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3사는 국제해사기구(IMO)가 선박 대기오염 방지규칙을 개정해 LNG(액화천연가스)추진선 등 친환경선박의 건조를 촉진하고 있어 대규모 일감을 수주하는 혜택을 누릴 것으로 보인다.

LNG추진선은 이전부터 글로벌 조선사들 가운데 한국의 조선3사만이 제대로 건조할 수 있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있다.

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국제해사기구는 계속해서 환경규제들을 내고 있고 한국조선해양은 이에 맞춰서 저탄소기술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며 “정부의 그린뉴딜정책과 맞물리면 기술력이 뛰어난 한국 조선사들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두산그룹은 친환경사업으로 그룹의 재건을 노리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발전사업에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디지털기술을 접목해 친환경발전을 수주하려 애쓰고 있고 두산퓨얼셀은 선박용 연료전지를 개발해 친환경 선박시장에 진입을 추진하고 있다.

두산그룹 관계자는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두산은 내부적으로 친환경에너지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이행계획을 직원들에게 얘기하고 있다”며 “두산중공업은 가스터빈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사업, 두산퓨얼셀은 수소사업에 역점을 두고 추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