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021년에도 한국경제를 놓고 불확실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안정적 경제 회복세를 되찾을 때까지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하겠다고 했다.
이 총재는 31일 발표한 신년사에서 “국내외 경제여건 불확실성이 이처럼 높은 상황에서는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며 “확장적 거시경제정책을 통해 경기회복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내년에도 당분간 전례 없는 수준의 완화적 통화정책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 총재는 “향후 코로나19 전개상황과 경기흐름, 지원효과와 부작용 등을 세심하게 점검해 통화정책을 언제 어떤 방식으로 정상화할 지 미리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이런 과정에서 자산시장으로 자금 유입 확대, 민간대출 증가 등 금융불균형 확대 위험도 커진 만큼 유의하겠다고 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세계에서 보호무역주의가 다시 대두되며 무역갈등이 커질 수도 있는 만큼 한국 경제 회복을 낙관하기 어렵다고 바라봤다.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재확산세가 좀처럼 억제되지 않고 변종 바이러스도 발생하고 있어 코로나19 사태의 완전한 종식시기를 예측하기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올해를 돌아보며 “한국은행은 코로나19 사태 뒤 최악의 경기 침체에 금융시장 불안을 진정시키고 급격한 실물경제 위축을 방지하기 위해 통화정책을 완화적으로 운영했다”고 말했다.
기준금리 하락과 국채 매입, 중고기업 및 소상공인 대출규모 확대와 회사채 매입기구 자금지원 등 시장에 돈을 풀기 위한 정책을 활발히 펼쳤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이 총재는 “한국은행의 적극적 정책대응에 힙입어 금융시장이 빠르게 안정을 되찾고 실물경제도 개선됐다”며 “하지만 본격적 경제 회복을 위해 넘어야 할 난관이 많다”고 말했다.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경제 활력 감소, 부문 및 계층 사이 불균형 확대도 경제회복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한국은행 내부적으로 건강한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인사 관행과 채용, 보상체계 등에 중장기적으로 변화를 추진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이 총재는 “올해도 한국경제가 처하게 될 상황은 결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대응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