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이 모바일뱅킹 애플리케이션에 아파트정보를 알려주는 서비스를 추가했다.
하나은행은 프롭테크 스타트업 데이터노우즈와 손잡고 하나원큐앱에서 고객조건에 맞는 아파트를 찾아주는 ‘부동산 리치고’서비스를 제공한다고 7일 밝혔다.
부동산 리치고는 부동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학군, 교통, 시세, 단지 규모 등을 분석한 뒤 아파트 단지별 △거주점수 △투자점수 △인공지능(AI) 예측 가격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세대 수, 아파트 연식, 학원, 지하철 이용 편의성 등 11가지 항목을 지수화해 거주 점수를 제공한다. 다른 아파트단지와 생활여건을 비교할 수 있다.
아파트 신규 공급, 미분양 현황, 전세가율 등 7개 항목을 점수화하여 투자점수를 그래프로 보여준다. 여러 아파트의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다.
하나은행은 이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0월 프롭테크 스타트업인 데이터노우즈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프롭테크(Prop Tech)는 부동산(Property)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정보기술(IT)을 결합한 부동산서비스업이다.
염정호 하나은행 미래금융그룹장은 “프롭테크 스타트업 데이터노우즈와 협력해 하나원큐앱에서도 원하는 아파트를 편리하게 찾을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며 “앞으로 다양한 생활금융 콘텐츠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
하나은행은 프롭테크 스타트업 데이터노우즈와 손잡고 하나원큐앱에서 고객조건에 맞는 아파트를 찾아주는 ‘부동산 리치고’서비스를 제공한다고 7일 밝혔다.

▲ 하나은행은 프롭테크 스타트업 데이터노우즈와 손잡고 하나원큐앱에서 고객 조건에 맞는 아파트를 찾아주는 ‘부동산 리치고’서비스를 제공한다고 7일 밝혔다. <하나은행>
부동산 리치고는 부동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학군, 교통, 시세, 단지 규모 등을 분석한 뒤 아파트 단지별 △거주점수 △투자점수 △인공지능(AI) 예측 가격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세대 수, 아파트 연식, 학원, 지하철 이용 편의성 등 11가지 항목을 지수화해 거주 점수를 제공한다. 다른 아파트단지와 생활여건을 비교할 수 있다.
아파트 신규 공급, 미분양 현황, 전세가율 등 7개 항목을 점수화하여 투자점수를 그래프로 보여준다. 여러 아파트의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다.
하나은행은 이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0월 프롭테크 스타트업인 데이터노우즈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프롭테크(Prop Tech)는 부동산(Property)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정보기술(IT)을 결합한 부동산서비스업이다.
염정호 하나은행 미래금융그룹장은 “프롭테크 스타트업 데이터노우즈와 협력해 하나원큐앱에서도 원하는 아파트를 편리하게 찾을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며 “앞으로 다양한 생활금융 콘텐츠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