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우조선해양이 22일 옥포조선소에서 디지털 방사선 품질검사로봇의 시연회를 열었다. <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은 22일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디지털 방사선 품질검사로봇의 시연회를 열었다고 24일 밝혔다.
방사선 품질검사는 선박과 해양플랜트의 용접부에 결함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지금까지 모든 조선사들은 필름을 활용한 아날로그 방식으로 이 작업을 진행해왔다.
필름을 사용하는 방식은 한 구역의 용접부를 촬영하기 위해 여러 번 촬영을 거쳐야 하는 만큼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방사선 노출 위험이 늘어난다.
대우조선해양은 기존의 방사선 품질검사에 디지털기술을 접목해 용접부의 품질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이 적용된 로봇은 용접부 위치를 3차원 모델링으로 파악하고 비파괴검사 정보를 수집한다. 축적된 데이터는 통합관리플랫폼에 저장된다.
이 로봇을 활용하면 작업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어 검사효율이 높아지고 작업자의 방사선 노출 위험도 줄어든다고 대우조선해양은 설명했다.
최동규 대우조선해양 중앙연구원장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선박과 해양플랜트 건조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은 물론이고 안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며 “대우조선해양의 기술력과 품질 수준을 한 차원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기술 개발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