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부부 10쌍 가운데 4쌍 이상이 맞벌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9일 발표한 ‘맞벌이 가구 현황과 소비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맞벌이 가구는 2014년 기준으로 502만8천 가구로 집계됐다.
|
|
|
▲ 롯데마트 직원들이 10일 맞벌이 부부를 고려한 프리미엄 도시락 2종 세트를 선보이고 있다. <뉴시스> |
맞벌이 가구는 2014년 기준으로 전체 부부 가운데 41.7%를 차지했다. 맞벌이 가구의 비중은 2006년 39.1%, 2010년 41.4%에 이어 계속 늘고 있다.
맞벌이 가구는 월평균 532만6천 원의 소득을 올리고 있다. 이 소득은 배우자 한 명만 돈을 버는 가구의 월평균 소득 380만 원보다 1.4배 많다.
맞벌이 가구는 월평균 지출로 294만3천 원을 소비했다. 배우자 한 명만 돈을 버는 가구의 월평균 지출 239만5천 원보다 1.2배 많은 것이다.
맞벌이 가구는 배우자 한 명만 돈을 버는 가구와 소비 패턴에서도 상당한 차이를 나타냈다.
맞벌이 가구는 전체 지출의 13.2%를 자녀들의 교육비로 투자했다. 이 비율은 배우자 한 명만 돈을 버는 가구의 10.3%보다 약 3%포인트 높은 것이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맞벌이 가구의 경우 부모가 일할 때 자녀들은 보통 학원에 가 있기 때문에 자녀들의 교육비에 투자하는 비중이 더 높다”고 설명했다.
맞벌이 부부는 전체 지출의 19.9%를 교통통신비로 사용했다. 배우자 한 명만 돈을 버는 가구는 전체 지출의 18.8%를 교통통신비에 썼다.
배우자 한 명만 돈을 버는 가구는 오락문화비에 전체 지출의 5.8%를 사용했다. 맞벌이 가구는 오락문화비로 전체 지출의 5.2%를 사용했다. 맞벌이 가구가 시간 문제로 여가를 상대적으로 즐기기 힘들다는 것이다.
배우자 한 명만 돈을 버는 가구는 전체 지출의 15.0%를 식료품 구입비로 사용해 맞벌이 가구의 13.4%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반면 맞벌이 가구는 전체 지출의 13.7%를 외식숙박비로 사용했다. 이 비중은 배우자 한 명만 돈을 버는 가구의 12.6%보다 더 큰 것이다.
김 연구원은 “맞벌이 가구의 부부는 집에서 음식을 하는 대신 외식으로 시간을 아끼는 경향성을 보였다”며 “맞벌이 가구가 늘어날수록 시간절약형 소비나 자녀 양육을 위한 소비도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