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이 삼성생명에서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을 확보해 배당을 늘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삼성전자 지분 취득이 추가 지배구조 개편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8일 “21대 국회는 보험업법 개정에 우호적 여당이 압도적 다수를 점하고 있어 법안 처리에 탄력이 붙을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바라봤다.
보험업법은 보험회사가 보유한 계열회사 주식을 총자산의 3% 이하로 보유하도록 규제한다. 개정안은 기존에 취득원가를 기준으로 한 주식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보험업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면 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보유한 삼성전자 주식을 시장가격으로 평가해 총자산의 3%가 넘는 주식은 법정 기한 내에 처분해야 한다. 삼성생명이 보유하고 있는 삼성전자 지분 8.5%의 상당부분을 매각해야 한다.
이 연구원은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의 상당부분을 매각한다면 삼성물산이 실질적 지주회사로서 삼성전자 지분을 매입할 명분이 충분히 있다”며 “매입자금을 어떻게 확보하느냐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이 연구원은 삼성물산이 보유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지분 43.4%를 삼성전자에 매각하고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을 매입하는 시나리오를 예상했다.
삼성물산은 2월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하면서 관계사 배당수익의 60~70%를 재배당한다는 배당정책을 발표했다.
이 연구원은 “삼성물산 관계사 배당수익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삼성전자의 배당”이라며 “향후 삼성전자 지분을 취득하면 삼성물산의 배당 확대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삼성물산이 삼성전자 지분을 취득한 뒤 추가로 지배구조 개편이 일어날 가능성은 낮게 봤다.
이 연구원은 “2016년 삼성그룹 지배구조의 유력 시나리오로 삼성전자 인적분할 및 삼성물산과 합병 등을 예상했는데 시대가 변했기 때문에 이러한 시나리오가 시행될 확률이 매우 낮다”고 판단했다.
이 연구원은 인적분할은 수월하게 이뤄질 수 있으나 합병은 주주들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상당한 진통을 겪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 더욱이 소수 개인주주 승계를 위한 합병이 주주들 이익에 반대되면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그는 “2018년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개편안이 실패했던 대표적 사례”라며 “여태까지 행보를 고려할 때 삼성그룹은 삼성전자 지분 취득 후 더 이상 스텝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
삼성전자 지분 취득이 추가 지배구조 개편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8일 “21대 국회는 보험업법 개정에 우호적 여당이 압도적 다수를 점하고 있어 법안 처리에 탄력이 붙을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바라봤다.
보험업법은 보험회사가 보유한 계열회사 주식을 총자산의 3% 이하로 보유하도록 규제한다. 개정안은 기존에 취득원가를 기준으로 한 주식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보험업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면 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보유한 삼성전자 주식을 시장가격으로 평가해 총자산의 3%가 넘는 주식은 법정 기한 내에 처분해야 한다. 삼성생명이 보유하고 있는 삼성전자 지분 8.5%의 상당부분을 매각해야 한다.
이 연구원은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의 상당부분을 매각한다면 삼성물산이 실질적 지주회사로서 삼성전자 지분을 매입할 명분이 충분히 있다”며 “매입자금을 어떻게 확보하느냐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이 연구원은 삼성물산이 보유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지분 43.4%를 삼성전자에 매각하고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을 매입하는 시나리오를 예상했다.
삼성물산은 2월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하면서 관계사 배당수익의 60~70%를 재배당한다는 배당정책을 발표했다.
이 연구원은 “삼성물산 관계사 배당수익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삼성전자의 배당”이라며 “향후 삼성전자 지분을 취득하면 삼성물산의 배당 확대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삼성물산이 삼성전자 지분을 취득한 뒤 추가로 지배구조 개편이 일어날 가능성은 낮게 봤다.
이 연구원은 “2016년 삼성그룹 지배구조의 유력 시나리오로 삼성전자 인적분할 및 삼성물산과 합병 등을 예상했는데 시대가 변했기 때문에 이러한 시나리오가 시행될 확률이 매우 낮다”고 판단했다.
이 연구원은 인적분할은 수월하게 이뤄질 수 있으나 합병은 주주들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상당한 진통을 겪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 더욱이 소수 개인주주 승계를 위한 합병이 주주들 이익에 반대되면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그는 “2018년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개편안이 실패했던 대표적 사례”라며 “여태까지 행보를 고려할 때 삼성그룹은 삼성전자 지분 취득 후 더 이상 스텝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