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중국의 성장 둔화를 세계 경제의 가장 큰 위협 요인으로 꼽았다.
이 총재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중국의 성장둔화를 ‘G2 리스크’라고 불렀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이 총재는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상된다면 투자자들이 신흥국가에 투자했던 자금을 회수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렇게 되면 신흥국가의 통화가치 절하와 주가 하락 등이 발생하고 실물경기 회복도 늦어질 수 있다고 이 총재는 예상했다.
그는 "중국의 경기불안 여파로 중국과 교역으로 성장했던 신흥국가들의 금융시장이 불안정해지고 성장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 총재는 “G2 리스크는 미국과 중국이 각각 통화정책과 성장모델을 정상화하면서 생긴 불가피한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경제 기초여건이 취약한 일부 신흥국가의 경우 자본유출과 시장금리 상승으로 통화와 자산가치가 떨어지면서 경기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이 총재는 내다봤다.
그는 “미국의 금리인상과 중국의 성장둔화는 앞으로 오랫동안 지속될 구조적 변화”라며 “각 나라들이 G2 리스크에 대비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G2 리스크에 대비해 가계부채가 늘어나는 속도를 줄이고 부채구조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시중금리가 오르면 가계부채를 갚아야 하는 가계의 부담이 늘어나면서 경기 회복도 늦어질 수 있다”며 “정책당국이 가계부채 관리에 힘써야 한다”고 주문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
- 기업과산업
- 바이오·제약
이주열 "미국 금리인상, 중국 성장둔화 대비해야"
2015-10-23 18:03:47
이규연 기자 - nuevacarta@businesspost.co.kr
인기기사
-
기업일반 [2026 후계자 포커스①] SK그룹 3세 전면 등판 가시권, 경영참여 시작한 '최윤정' 외부경험 쌓는 '최인근' -
자동차·부품 중국 리튬업체 회장 "내년 수요 30% 증가" 전망, 탄산리튬 가격 9% 급등 -
전자·전기·정보통신 LG이노텍 새 성장축 반도체 기판, 문혁수 FC-BGA 이어 유리기판까지 확장 -
전자·전기·정보통신 이재용 곁에 자주 보였던 박학규, 삼성전자 사업지원실장 맡은 그의 몸에는 '컨트롤타워' 피가 흐른다 -
바이오·제약 유진투자 "엘앤씨바이오 스킨부스터 '리투오'로 3분기 깜짝 실적, 생산능력 확대 예정" -
중공업·조선·철강 HD한국조선-한화오션 해양플랜트는 '부진', 내년 이후 조선과 쌍돛대 되나 -
정치 [여론조사꽃] 이재명 지지율 69.3%로 1.5%p 상승, 중도층 긍정평가 74.0% -
자동차·부품 현대차그룹 2030년까지 국내 125조 투자 '역대 최대', AI·SDV·로봇·수소 집중 투자 -
항공·물류 장인화 포스코 리튬광산·제철소 대규모 투자 강행, '시총 18조' HMM 인수 여력 물음표 -
기업일반 삼성 국내에 5년간 450조 투자·6만 명 채용, 평택 반도체 5공장 건설 착수
- 기사댓글 0개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