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금융지원 현황 등을 점검했다.
금융위원회는 7일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금융리스크 대응반은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가 운영하는 3개 대응반 가운데 하나다. 금융리스크 대응반 이외에 산업·기업 위기대응반, 고용위기 대응반 등이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 기업 안정화방안 등의 준비 및 집행상황을 점검했다.
1차 소상공인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13조5천억 원이 지원됐으며 2차 소상공인 지원프로그램으로 4629억 원이 집행됐다.
중소·중견기업의 자금지원 확대를 통해 17조3천억 원, 회사채·단기자금시장 안정화를 위해 9조1천억 원이 지원됐다.
금융권 전체 대출 및 보증 지원은 3일까지 173만8천 건, 152조7천억 원의 자금이 지원됐다.
업종별 지원건수는 음식점업 34만4천 건, 소매업 29만2천 건, 도매업 20만 건 순서로 금융지원이 이뤄졌다. 금액 기준으로는 기계·금속 제조업 24조2천억 원, 도매업 19조7천억 원, 소매업 11조5천억 원 등이 지원됐다.
유형별로 보면 신규대출 및 보증이 모두 134만8천 건, 73조 원이 실행됐다. 기존대출·보증 대상 만기연장이 39만 건, 79조7천억 원 이뤄졌다.
기관별로는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101만8천 건(79조 원), 시중은행을 통해 69만7천 건(72조8천억 원)의 지원이 이뤄졌다.
손병두 부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추가경정예산의 정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신규 프로그램들을 신속하게 실행하겠다”며 “경제의 조기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최적의 금융자원 배분이 이뤄질 수 있도록 관계부처, 정책금융기관 사이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
금융위원회는 7일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금융리스크 대응반은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가 운영하는 3개 대응반 가운데 하나다. 금융리스크 대응반 이외에 산업·기업 위기대응반, 고용위기 대응반 등이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 기업 안정화방안 등의 준비 및 집행상황을 점검했다.
1차 소상공인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13조5천억 원이 지원됐으며 2차 소상공인 지원프로그램으로 4629억 원이 집행됐다.
중소·중견기업의 자금지원 확대를 통해 17조3천억 원, 회사채·단기자금시장 안정화를 위해 9조1천억 원이 지원됐다.
금융권 전체 대출 및 보증 지원은 3일까지 173만8천 건, 152조7천억 원의 자금이 지원됐다.
업종별 지원건수는 음식점업 34만4천 건, 소매업 29만2천 건, 도매업 20만 건 순서로 금융지원이 이뤄졌다. 금액 기준으로는 기계·금속 제조업 24조2천억 원, 도매업 19조7천억 원, 소매업 11조5천억 원 등이 지원됐다.
유형별로 보면 신규대출 및 보증이 모두 134만8천 건, 73조 원이 실행됐다. 기존대출·보증 대상 만기연장이 39만 건, 79조7천억 원 이뤄졌다.
기관별로는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101만8천 건(79조 원), 시중은행을 통해 69만7천 건(72조8천억 원)의 지원이 이뤄졌다.
손병두 부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추가경정예산의 정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신규 프로그램들을 신속하게 실행하겠다”며 “경제의 조기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최적의 금융자원 배분이 이뤄질 수 있도록 관계부처, 정책금융기관 사이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