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이 강원도 도암댐의 정상가동을 목표로 수질 개선사업을 추진하며 환경피해를 우려하는 주민 설득을 진행하고 있다.

지역주민들이 수질 개선작업에 사용되는 천연광물의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작업 자체를 강하게 반대하고 있어 사업 추진에 진통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한수원 도암댐 수질 개선사업 서둘러, 지역주민 안전성 반발에 진통

▲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4일 한수원에 따르면 천연광물을 이용해 도암댐의 수질을 개선하는 작업을 6월 안에 시작할 준비를 하고 있다.

도암댐은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발전용댐으로 정선군의 상수도 식수원인 송천을 막아 건설됐다. 인공 수로를 통해 강릉쪽으로 물을 내보내 발생하는 낙차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했다.

그러나 댐 상류 고랭지 밭에서 흘러 내려온 토사로 생긴 흙탕물이 강릉 남대천을 오염시킨다는 민원이 발생해 2001년 발전을 중단한 뒤 홍수조절용으로만 운영되고 있다.

집중호우로 댐에서 방류가 이뤄지면 고여 있던 흙탕물로 정선과 영월방면 하천에 피해를 준다는 지역민의 불만이 컸다.

정부의 흙탕물 저감사업에도 불구하고 도암댐 하류지역의 흙탕물 피해가 계속되자 한수원은 2010년 도암댐에 수질 개선시설을 설치해 수질 개선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한수원은 천연광물인 제올라이트 계통의 수질 개선제를 사용한 수질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제올라이트는 용암이 굳어져 생성된 광물로 악취 제거와 퇴적물 정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수원 관계자는 “수질 개선사업의 허가를 받기 위해 원주지방환경청 등과 관련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수원은 도암댐의 수질 개선사업을 통해 발전용댐으로 다시 가동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수원은 이번 사업의 목표가 도암댐의 수질 개선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도암댐이 정상적으로 가동된다면 수력발전을 재개해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육성정책과도 보조를 맞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수원은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용량을 현재 2.7% 수준에서 24%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세우고 수력, 태양광 등의 신재생에너지발전사업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한수원은 이번 수질 개선사업을 6개월 동안 시행한 뒤 수질 개선의 성과가 나타나면 주변 지역과 협의해 발전 재개에 관한 논의를 시작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한수원 관계자는 “도암댐의 발전 재개를 위해서 수질 개선이 전제 조건으로 되어 있다”며 “일단 수질 개선이 우선적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지역주민들은 수질 개선사업으로 식수원이 오염될 수도 있다고 염려하며 반대 투쟁을 예고하고 있어 한수원의 수질 개선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정선군번영연합회는 “천연광물을 이용한 수질 개선사업이 주변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알 수 없다”며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은 상황에서 수질 개선제를 사용하는 것은 군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정선군번영연합회는 도암댐의 퇴적물 처리를 통한 수질 개선 뒤에 상시 방류구를 통한 자연방류를 요구하고 있다.

정선군번영연합회는 한수원이 주민들과의 동의 없이 수질 개선사업을 추진한다면 감사원에 감사청구를 낼 준비도 하고 있다.

한수원은 주민들과 대면 접촉을 이어가며 설득 작업을 이어간다는 계획을 세웠다.

한수원 관계자는 “주민들께 수질 개선사업의 안전성에 관한 충분한 설명을 드릴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