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경기가 위축되면서 상가 공실이 늘고 임대료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1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국의 상가 평균 공실률은 중대형이 평균 11.7%, 소규모가 5.6%로 2019년 4분기보다 각각 0.7%포인트, 0.1%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감정원은 코로나19로 소비 심리가 둔화하고 매출이 감소해 상가 공실률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일부 상권이 일시 휴업하며 임차는 유지되고 있어 공실률 증가폭이 가파르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
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이 330㎡를 초과하는 중대형 상가는 경북(17.4%), 전북(15.7%), 충북(15.5%) 지역의 공실률이 전국 평균보다 높았고 제주(6.3%), 서울(7.9%), 경기(9.8%) 등은 평균보다 낮았다.
경북은 구미(24.9%), 포항(21.5%) 등 상권이 지역산업 침체에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치며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2019년 4분기보다 1.4%포인트 올랐다.
코로나19 피해가 컸던 대구(15.2%)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직전 분기보다 0.7%포인트 높아졌다.
서울은 압구정(14.7%), 장안동(17.1%) 등 상권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및 외국인 등 유동인구 감소로 폐업이 늘면서 직전 분기보다 1%포인트 올랐다.
소규모 상가 공실률을 살피면 세종(10.6%), 전북(10.1%), 충남(7.3%) 등이 전국 평균(5.6%)보다 높았고 제주(2.1%), 경기(3.9%), 서울(4.3%) 등은 평균보다 낮았다.
전북은 군산(20.9%)과 정읍(12.7%) 등 상권에서 지역 산업 침체와 유동인구 감소, 상권 둔화로 폐업 상가가 늘었다.
전국의 오피스 평균 공실률은 11.1%로 2019년 4분기보다 0.1%포인트 높아졌다.
오피스는 주로 기업 등 업무관련 시설로 코로나19 영향을 크게 받지는 않았다.
수도권에서는 여전히 수요가 풍부해 코로나19 사태가 오피스 공실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지방은 기존 경기둔화 영향에 코로나19가 더해져 상대적으로 공실률이 높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의 오피스 공실률은 직전 분기보다 0.1%포인트 오른 8.6%를 보였다. 테헤란로(6.0%)와 강남대로(7.0%) 등 상권에서 공유 오피스 활용과 정보기술(IT)·스타트업 등 신규 임대 수요가 뒷받침되며 공실률 상승폭이 둔화됐다.
올해 1분기 임대료는 집합상가의 임대료가 ㎡당 2만7800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중대형 상가가 2만6700원, 소규모 상가가 2만 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4분기보다 각각 1.28%, 1.47%, 1.55% 하락한 수치다.
한국감정원은 이번 조사에서 시장의 상황과 모집단의 변화를 정확히 반영하기 위해 상권을 재설정하고 표본 수를 확대하는 등 표본 개편을 시행했다.
이에 따라 이번 조사는 전국 오피스·일반상가 9211동 및 집합상가 2만3천 호로 대상이 확대됐으며 감정원 소속 전문조사자 320여 명이 지역을 방문해 임대인·임차인의 면담 등을 통해 수행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