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 "대기업, 코로나19로 현금확보와 비용절감에 총력"

▲ 한국경제연구원의 조사 결과 국내 대기업들이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현금 확보와 비용 절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연구원>

국내 대기업들이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현금 확보와 비용 절감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4월13~24일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종업원 300인 이상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120곳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기업 구조조정 현황’을 설문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설문 결과 코로나19 피해 최소화를 위해 현재 실시하고 있거나 논의하고 있는 대응 전략으로 가장 많은 답변은 ‘금융자금 조달 등 유동성 확보’(22.5%)였다.

휴업과 휴직(19.4%), 성과급·복지비 등의 급여 삭감(17.5%)과 같은 비용 절감 방안이 뒤를 이었다. 명예·희망퇴직이나 정리해고, 권고사직 등 인력 감원은 8.8%를 보였다.

비주력사업 매각과 인수합병 등 사업구조 개편(4.4%)이나 공급망 변경(3.1%)을 추진하는 기업도 있었다. 별도 대응방안이 없다고 대답한 기업은 17.5%였다.

급여 삭감을 결정한 기업들은 직원 월급의 평균 7.9%를, 임원 월급의 평균 15.0%를 삭감하려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들의 78.6%는 월급 삭감폭을 0∼10%라고 답변했다. 월급을 10∼20% 삭감하려고 한다는 기업은 17.9%, 30∼40% 삭감하려고 한다는 기업은 3.6% 등이었다.

휴업이나 휴직을 실시하거나 논의하는 경우 평균 휴직기간은 1.2개월로 조사됐다.

2주 이내 휴업을 고려한다는 응답이 48.4%로 가장 많았다. 1∼2개월(19.4%), 2주∼1개월(12.9%), 2∼3개월(12.9%), 4개월 이상(6.5%) 등이 뒤를 이었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영 악화가 지속한다고 가정했을 때 인력 감원을 하지 않고 영업을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을 묻자 전체 응답 기업의 67.5%는 6개월 이상이라고 대답했다. 2∼4개월(16.7%), 4∼6개월(9.2%), 0∼2개월(6.7%) 등이 뒤를 이었다.

응답 기업 3곳 가운데 1곳은 코로나19가 6개월 이상 지속한다면 감원이 불가피하다고 내다본 것이다.

휴업과 휴직을 추진하는 기업 가운데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을 받는 곳은 19.4%에 그쳤다.

고용유지지원금을 받지 못하는 이유를 묻자 휴업시간이나 휴직기간 요건에 미달하기 때문이라고 대답한 기업이 전체의 52.0%로 절반을 넘었다. 매출 감소 등 사유 불인정(20.0%), 까다로운 신청 절차와 서류 구비(8.0%), 신규채용·감원 등에 따른 지원금 반환 가능성(4.0%) 등의 이유도 있었다.

고용대란을 막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지원으로는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요건 완화(37.5%)가 가장 많았다. 최저임금 동결(19.2%)과 긴급융자제도 도입(14.9%), 특별고용지원업종 추가 지정(13.9%), 직원 월급 보증제도 도입(11.5%) 등이 뒤를 이었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정책실장은 “경영 위기에도 휴업과 휴직 실시로 고용을 유지하는 대기업에 고용유지지원금이 원활히 지급되도록 지원요건을 완화해 정부가 민간의 고용유지 노력에 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