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우 다음카카오 대표가 콜택시 애플리케이션(앱)인 카카오택시를 유료서비스로 전환할 계획이 현재는 없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카카오택시 사업진출에 따른 피해가 없도록 관련 사업자와 소통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
|
|
▲ 이석우 다음카카오 대표가 11일 국회 세종청사에서 열린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국회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
이 대표는 11일 세종시 정부청사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의 증인으로 출석했다.
이 대표는 황영철 새누리당 의원이 카카오택시 사업의 의의를 질문하자 국내 콜택시 시장의 규모를 키웠다고 자평했다.
이 대표는 “카카오택시를 출시하기 전 전국 콜택시 기사 수가 6만 명이었는데 현재 15만 명까지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생활에 편리함을 주는 모바일 서비스를 내놓기 위해 카카오택시 사업을 생각했다”며 다음카카오가 콜택시 서비스 시장에 진출한 배경을 설명했다.
이 대표는 국토교통부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콜택시 서비스인 ‘1333 서비스’의 인기가 없는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느냐는 황 의원의 질문에 “그 부분은 잘 알지 못 한다”며 답변을 피했다.
1333 서비스는 국토교통부가 예산 80억 원을 들여 2014년 7월 선보인 콜택시 연결 서비스다.
국번 없이 1333번을 누르면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서비스가 시작된 뒤 13개월간 이용 횟수가 카카오톡의 하루 이용량인 24만 건과 비슷한 29만 건에 불과해 예산낭비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다음카카오가 카카오택시를 유료 서비스로 전환하는 등 수익화 모델로 바꿀 것이냐는 질문도 나왔다.
이 대표는 “카카오택시는 아직 성장단계에 있다고 본다”며 “카카오택시를 수익모델로 바꿀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만약 카카오택시 사업으로 피해를 보는 사업자가 있다면 다음카카오가 이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해 상생의 길을 마련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국감에서 최근 불거졌던 카카오택시의 승차거부 문제나 다음카카오의 대리운전 시장진출 논란 등은 다뤄지지 않았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카카오택시와 관련된 정보는 대부분 이미 알려진 것들”이라며 “국감 시간이 촉박한데 불필요한 질문만 오갔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 대표가 국감장에 출석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이 대표는 지난해 10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해 카카오톡의 불법감청과 실시간 모니터링 논란에 대해 해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서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