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종 세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코로나19 사태로 인구 이동이 금지되고 교역이 줄어들고 있다"며 "외환위기 재발 방지를 위해 정부는 한미 통화스와프를 체결하고 외환보유고를 확대해야 한다"고 19일 밝혔다.

▲ 김대종 세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김 교수는 “코로나19는 메르스보다 전파력이 높아 세계적 대유행(판데믹)을 불러왔다”며 “미국과 유럽을 포함한 세계가 이동을 금지하면서 수요와 공급의 위축에서부터 실물경제 위기 그리고 금융위기로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도 글로벌 경제의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실물경제위기와 금융위기까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김 교수는 내다봤다.
김 교수는 “2020년 초부터 3월까지 외국인은 약 12조 원의 한국주식을 매도했다”며 “17일 환율은 1238원으로 크게 오르면서 불안을 가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무역의존도가 75%인 상황에서 주력산업인 반도체, 전자, 자동차, 석유화학 등 모든 업종의 수출이 큰 폭으로 줄어 경상수지도 3월에 적자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다고 김 교수는 봤다.
김 교수는 “미국이 코로나19로 2008년 금융위기 때와 비슷하게 기준금리를 0%로 낮추고 양적 완화(달러 공급)를 시작했지만 역부족”이라며 “미국 다우존스지수는 모든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에도 불구하고 30% 하락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한국의 국제금융 상황도 심각한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며 “2020년 한국의 단기외채비율은 약 34%로 2015년 이후로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2020년 3월 한국의 외환보유고는 4019억 달러로 국제결제은행(BIS)이 권고한 금액보다 4300억 달러 부족하다고 김 교수는 지적했다. 한국의 GDP 대비 외환보유고 비중은 25%다.
김 교수는 “코로나19로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한국과 미국 그리고 한국과 일본의 통화스와프 체결이며 조속히 외환보유고를 두 배로 확대하고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은 높은 자본시장 개방성과 유동성으로 외국인들이 쉽게 유출을 할 수 있다”며 “정부는 2010년 종료된 미국과의 통화스와프를 다시 체결하고 철저하게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2015년 미국 학술지 '비즈니스 앤 이코노믹스' 4월호에 실린 '신흥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적절한 외환 보유고' 논문을 비롯해 2019년 8월 열린 한국경영학회에서도 '외환보유고 8300억 달러 확대와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이 필요하다라'는 주제로 논문을 발표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