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945년 광복 직후 서울의 모습. <서울시립대박물관> |
1945년 광복을 맞았을 때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가난한 나라였다.
6·25 전쟁을 치르고 난 뒤 폐허가 된 우리나라를 보고 맥아더 장군은 “이 나라를 복구하는데 적어도 100년이 걸릴 것”이라고 말할 정도였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1960~1980년대 연평균 10%에 가까운 고도성장을 이뤄냈다.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와 2000년대 후반 글로벌 금융위기에도 우리나라 경제는 무너지지 않고 성장을 이어왔다.
광복 70주년을 맞아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70년 만에 세계 최빈국에서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으로 성장했다.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은 1953년 13억 달러에서 지난해 1조4104억 달러로 세계 13위에 올라있다. 1인당 GDP는 66달러에서 2만8180달러로 늘었다. 1인당 GDP는 세계 30위권이다.
우리나라가 무역국으로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경제규모 이상이다. 한국무역협회(KITA)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으로 우리나라 무역액은 847억 달러로 전 세계 무역액의 3.1%를 차지하고 있다. 무역순위는 8위다.
경상수지는 1990년대 후반까지 적자를 내다가 1998년 이후 흑자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40개월 연속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 수입액은 396억 달러로 세계 수입액의 2.9%를 차지하며 9위에 올라있다. 수출액은 451억 달러로 세계 수출액의 3.4%를 차지한다. 중국(2001억 달러), 미국(1215억 달러), 독일(990억 달러), 일본(519억 달러), 네덜란드(455억 달러)에 이어 여섯 번째다.
우리나라 수출액은 1956년 2500만 달러에 그쳤으나 지난해 5727억 달러로 58년 만에 2만 배가 넘게 증가했다. 무역액이 국민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무역 의존도는 같은 기간 15.2%에서 99.5%로 압도적으로 커졌다.
산업구조도 70년 동안 극적으로 변화했다.
1950년대 초반까지 농림어업 비중이 국가경제의 절반 가량을 차지했으나 이제 2.3%로 줄었다. 제조업은 1953년 7.8%에서 30.3%까지 늘어났다. 서비스업도 40.3%에서 59.4%로 비중을 늘렸다.
우리나라 주요산업은 1960년대 경공업에서 1970년대 중화학공업을 거쳐 1980년대 후반부터 첨단기술산업으로 바뀌어 왔다.
현재 반도체산업이 세계 1위로 전체 수출의 10%를 차지하고 있고 자동차산업이 8%, 조선산업이 6%를 차지하며 우리나라 경제를 견인하고 있다.
기업 숫자도 비약적으로 늘어났다. 5인 이상 사업장은 1955년 8800개에서 2013년 67만 여개로 증가했다.
주식시장 시가총액은 1956년 4억 원에서 현재 1234조 원으로 늘어났다. 외환보유액은 1960년 1억6천만 달러에서 지난달 3715억 달러로 급증했다.
|
|
|
▲ 광복 70년. 이제 삶의 질을 높이는 게 핵심과제가 됐다. |
광복 이후 우리나라 인구는 두 배 이상 늘어났다. 남한 인구는 1949년 2017만 명이었다. 2010년 실시한 인구주택총조사에서 남한 인구는 4799만 명으로 조사됐다. 2010년 기준으로 세계에서 26번째로 많다.
노령화 경향도 눈에 띈다. 15세 미만 인구 대비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인 노령화지수는 1955년 8%였으나 지난해 88.7%로 10배 이상 높아졌다.
노령화지수가 30%를 넘어가면 노령화사회로 분류된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노령화는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기대수명은 1970년 61.9세에서 2013년 81.9세로 43년 만에 20세 늘었다.
의료와 교육분야도 비약적으로 달라졌다. 인구 1천 명당 의사는 1949년 0.22명이었으나 2013년 2.18명이 됐다. 의료기관은 1955년 5542곳에 불과했으나 2012년 5만9519곳으로 증가했다.
학교도 급증했다. 1956년 초등학교 4301개, 중학교 999개, 고등학교 592개, 대학교 48개였으나 2014년 기준으로 초등학교는 8826개, 중학교 3186개, 고등학교 2326개, 대학교 201개로 늘었다.
초등학생 숫자는 1952년 237만 명에서 1970년 575만 명까지 늘었다가 2014년 273만 명으로 줄었다. 반면 대학생 숫자는 1952년 3만 명에서 2014년 213만 명으로 크게 늘어 고등교육 비중이 커졌다.
승용차 등록대수는 1946년 1천 대가량이었으나 2014년 1575만 대로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이보다 더 빨리 증가한 것은 휴대전화 가입자 숫자다. 휴대전화 가입자 수는 1982년 300명이었으나 현재 5235만 명으로 인구보다 많아졌다.
하지만 이런 경제지표의 화려함에 비해 삶의 질은 그다지 높지 못한 편이다.
OECD가 올해 발표한 '더 나은 삶 지수(Better Life Index)'에 따르면 36개 국가 가운데 우리나라는 27위로 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11개 지표 가운데 교육(4위), 시민참여(4위)는 높은 편이었으나 공동체성을 나타내는 사회적연계 지표가 36위로 최하위였다. 일과 삶의 균형(33위), 건강(31위), 환경(30위), 삶의 만족도(29위)도 낮은 수준이었다.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 당 자살률은 1983년 8.7명이었으나 2013년 28.5명으로 30년 만에 3배 이상 늘어났다. 인구 1천 명 당 이혼률은 1970년 0.4건에서 2013년 2.3건으로 증가했다. 인구 10만 명 당 교통사고 사망자는 1973년 8.9명에서 2013년 10.1명으로 늘었다.
소득불평등도 확대됐다. 소득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1990년 0.266에서 지난해 0.308로 증가했다. 지니계수는 0에서 1 사이의 값으로 분포되는데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심하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