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현대자동차 윤갑한(오른쪽) 사장과 이경훈 노조위원장이 지난해 10월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열린 2014 임금협상 단체교섭 조인식에서 악수하고 있다. <뉴시스> |
현대자동차 노사가 추진하고 있는 임금체계 개선작업의 갈 길이 멀어 보인다. 노사 의견차이가 워낙 크기 때문이다.
현대차 노사는 2014년 11월부터 임금체계와 통상임금 개선위원회를 만들어 논의하고 있지만 8개월째 격론만 벌이고 있다.
31일 현대차 노조에 따르면 노사는 30일 임금체계와 통상임금 개선위원회 8차 본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노조는 현대차가 제시한 임금체계 개선안에 강하게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이날 자문위원회의 2차 의견서를 토대로 개선안을 만들어 노조에 제시했다.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는 지난 8일 열린 7차 본회의에서 현대차의 임금체계 개선방향에 대한 2차 의견서를 노사에 전달했다.
현대차 노조에 따르면 현대차가 제시한 개선안에 상여금 가운데 일부를 통상임금으로 적용하고 차등임금제를 도입하며 호봉제를 폐지하는 방안 등이 포함됐다.
노조는 이런 개선안이 기존 노조의 주장을 완전히 무시하는 수준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노동조합의 근간을 흔드는 안이라는 것이다. 현대차 단협 제54조는 임금의 차등지급을 금지하고 있다.
노조는 “회사가 통상임금 문제를 2015년 마무리하겠다는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럽다”며 “휴가철이 끝나면 모든 수단을 동원해 회사를 압박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항의 차원에서 회사가 내놓은 개선안을 수거해 돌려준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휴가기간이 끝난 뒤 다시 조합원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으로 새로운 제시안을 내놓을 것도 요구했다.
노조는 통상임금 확대와 월급제 시행, 기본급 확대를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기초급, 직무급, 부과급 등 차등임금을 도입할 것이 아니라 기본급 인상이 우선이라는 것이다.
개선위원회가 출범한 지 8개월이 지나도록 노사가 의견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현대차의 임금체계 개선이 올해도 물건너 간 것 아니냐는 섣부른 관측도 나온다.
현대차 노사는 2014년 11월 임금체계와 통상임금 개선위원회를 출범했다.
개선위원회는 독일과 프랑스, 일본을 직접 방문해 선진기업들의 임금제도를 직접 조사하고 임금체계 개선방안을 모색했다. 이를 토대로 자문위원회의 의견서를 두 차례 전달했다.
하지만 8개월째 별다른 성과 없이 제자리걸음하고 있다.
현대차는 임금체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요구를 받아 왔다. 현대차가 글로벌 자동차회사와 어깨를 나란히 하려면 지나치게 복잡한 지금의 임금체계를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현대차는 기본급보다 수당의 비중이 높은 기형적 임금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현대차는 또 연공서열형 임금체계를 유지하고 있어 수행하는 업무의 가치나 근로자들의 능력과 관계없이 근속년수에 따라 자동으로 임금이 결정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현대차 생산라인 노동자는 1년차와 30년차가 거의 동일한 일을 하지만 근속연수가 높다는 이유로 임금에 차이가 있다. 수당도 연월차, 휴가, 생산성 향상, 직급, 가족수당 등 120여 개에 이른다.
현대차는 2014년을 기준으로 매출에서 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14.3%에 이른다. 삼성전자(6%)나 LG전자(9.4%)는 물론이고 경쟁업체인 한국GM(1.8%)에 비해 높은 편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