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래 한국도로공사 사장이 고속도로 수소충전소를 확충하려는 정부 정책에 손발을 맞추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소충전소 건설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문제를 놓고 민간사업자와 협상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수소충전소 확대가 늦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1일 수소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이 사장은 국토교통부와 함께 고속도로 수소충전소를 확충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부의 지원이 쉽지 않아 보인다.
수소충전소 건설과 운영에 참여할 민간사업자들이 정부 보조를 늘려달라고 요구하는 상황에서 한국도로공사의 부담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다.
한국도로공사는 2022년까지 고속도로변에 수소충전소 60곳을 세우려는 국토교통부의 계획에 함께 참여하고 있다.
도로공사는 2019년 세워진 고속도로 수소충전소 8곳 가운데 4곳을 직접 운영하고 있다. 나머지 4곳을 운영하는 현대자동차에는 부지를 무상으로 빌려줬다.
2020년에도 고속도로 수소충전소 13곳을 추가로 구축할 방침을 잡았다.
그러나 도로공사와 함께 충전소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하이넷'은 비용 문제로 난색을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수소충전소 1곳을 세우는 데 25억~30억 원이 드는 점을 고려하면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의 지원액이 적다는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고속도로 수소충전소 1곳당 7억5천만 원, 한국도로공사는 2억5천만 원을 지원한다. 반면 지방거점 등의 수소충전소를 담당하는 환경부는 1곳당 15억 원을 지원한다.
이 사장은 10월 국정감사 답변에서 “수소충전소 구축의 애로사항은 투자비용”이라며 “하이넷은 환경부에서 지원하는 금액 수준의 보조를 제시했다”고 말했다.
유종수 하이넷 대표도 3월 한 토론회에서 “현행 국토부의 보조만으로는 한국도로공사가 고속도로 수소충전소의 구축과 운영 책임을 전담하는 것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했다.
결국 이 사장은 하이넷을 대신할 민간사업자를 새로 공개모집했다. 현재 컨소시엄 3곳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해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다만 한국도로공사가 2020년에 고속도로 수소충전소를 세워 운영할 민간사업자를 언제 몇 곳으로 확정할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연내에 수소충전소 건설이 시작될지도 확실하지 않다.
이번에 민간사업자가 선정되더라도 국토부의 지원이 지금 수준에 머무른다면 한국도로공사에 두고두고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도로공사는 2021년에도 수소충전소 13곳을 추가로 구축할 계획을 세웠는데 이번처럼 민간사업자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 다시 찾아올 수 있다.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정감사 당시 국토부를 상대로 “고속도로 휴게소 등의 수소충전소 구축을 위해 정부의 출자비율을 높이는 방안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국회 예산정책처도 2020년 국토교통위원회 예산안의 분석자료를 통해 “민간사업자와 협의가 원활하지 않으면 추가 국비가 들어가거나 한국도로공사의 부담이 무거워질 수 있다”며 “민간과 조속한 협의를 바탕으로 재원 분담비율을 확정해야 한다”고 바라봤다.
이와 관련해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고속도로 수소충전소 구축과 관련해 부담이 전혀 없다고는 볼 수 없다”며 “관련 예산을 늘리기 위해 국토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