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31일 국회 본회의에서 자산관리공사 법정자본금을 기존 1조 원에서 3조 원으로 확대하도록 개정안이 통과돼 앞으로 기업 회생과 지원을 위한 금액을 더 많이 조달할 수 있게 됐다.
법정자본금 증가를 바탕으로 ‘캠코기업지원금융’도 출범해 중소기업 금융지원을 확대할 것으로 파악됐다.
문창용 사장은 자산관리공사의 정체성을 '중소기업 회생지원 전담기관'으로 만들어가는 데 힘을 쏟고 있다.
문 사장은 6월 기자간담회 때 “자산관리공사가 경제 취약부문에 역할을 더 확대해야 한다”며 “대기업은 국책은행이 구조조정 지원을 한다면 회생 중소기업은 자산관리공사가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자산관리공사는 기본적으로 부실채권을 인수해 경제질서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문 사장은 이 가운데 중소기업의 경영정상화에 무게중심을 싣기로 방향을 잡은 것이다.
자산관리공사는 2015년 5월부터 매입 후 임대 프로그램을 시행해 기업이 영업기반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산을 인수한 뒤 다시 해당 기업에 임대하고 있다.
2018년까지 모두 기업 29곳에서 자산 3342억 원을 인수했다.
자산매입 후 임대 프로그램의 문턱이 너무 높은 것 아니냐는 지적을 고려해 자산관리공사는 절차 개선작업도 마쳤다. 2019년 7월까지 지원 기업 774곳 가운데 4%에 이르는 기업이 지원대상으로 확정됐다.
금융위원회가 7월27일 마련한 ‘자본시장을 통한 구조조정 활성화정책’에 맞춰 지원대상 심사의 효율성과 객관화를 위한 ‘표준심사지표’를 도입하고 이미 지원한 기업에 들어가는 비용은 완화했다.
자산관리공사 관계자는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은 좀비기업(회생불가능 연명기업)의 생명연장이 아니고 일시적으로 경영이 어려운 기업의 정상화 재기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이라며 “기관 사이 협업 등을 통해 지원 대상기업 발굴을 강화하고 기업구조혁신지원센터와 연계해 실효성을 높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자산관리공사는 기업경영 정상화를 위해 자산관리공사가 직접 투자에 참여하는 사업도 시작했다.
8월 첫 번째 지원대상으로 자동차부품 제조 중소기업인 '다이나맥'을 선정해 경영 정상화를 위한 사모투자회사(PEF)에 자산관리공사가 100억 원을 출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