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계가 구조조정의 두려움에 떨고 있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이 2분기에 조 단위의 대규모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되면서 조선사마다 생존을 위한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을 맞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들은 올 것이 왔다는 반응을 보이면서 인력감축이 조선업계 전체로 확산될 가능성에 잔뜩 몸을 움츠리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대규모 구조조정 공포 엄습  
▲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대우조선해양 주가는 20일 전일 대비해 6.64% 하락한 7450원을 기록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이날 천연가스 추진선박을 수주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수주경쟁력을 입증했지만 속절없이 떨어지는 주가를 끌어올리기에 역부족이었다.

대우조선해양은 해양플랜트를 중심으로 손실이 2조 원에 이르고 자회사 부실까지 더하면 3조 원 이상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해양이 이런 손실을 2분기 실적에 반영할 것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주가가 하락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만 해양플랜트로 대규모 손실을 입은 게 아니다.

삼성중공업도 해양플랜트 공기지연으로 손실규모가 1조 원을 넘을 것으로 관측된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1분기에도 해양플랜트 2기에서 발생한 손실충당금 5천억 원을 실적에 반영했는데 추가손실을 입게 된 것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들은 조선회사들의 고강도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고 전망한다. 대우조선해양이나 삼성중공업은 일단 인력 구조조정보다 사업 구조조정에 나서겠다는 입장이지만 대규모 적자를 만회하려면 감원은 초읽기나 마찬가지라는 말이 나온다.

조선사들은 당장 대규모 손실의 직접적 원인이 된 해양플랜트 비중을 줄여가고 있다.

조선사들은 금융위기 이후 세계 물동량이 줄어들며 상선발주가 감소하자 해양플랜트로 눈을 돌렸다. 하지만 경쟁이 치열해지며 저가수주 물량이 많아졌고 결국 대규모 손실로 돌아왔다.

대형 조선사 수주잔량에서 해양플랜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50~60%이다. 하지만 저유가 기조로 해양플랜트 발주가 줄어들면서 이 비중은 줄고 있다.

최근 들어 조선사들은 해양플랜트보다 고부가가치 선박에 주력하고 있다. 올해 들어 조선 3사 가운데 해양플랜트를 수주한 곳은 삼성중공업이 유일하다.

조선사들 수주 포트폴리오가 상선 위주로 변경되면 인력감축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상선 건조에 필요한 인력은 척당 100~200명 수준이지만 해양플랜트는 최대 2천 명이 투입되기 때문이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이 2분기 대규모 손실을 한 번에 털어내려는 것도 인력감축을 위한 명분쌓기라는 시각도 있다.

특히 이번에 개별 회사 차원을 넘어 그룹과 채권단이 나서 인력감축을 강력히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대규모 구조조정 공포 엄습  
▲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미래전략실 차원의 경영진단을 받았다. 약 80명의 감사인원이 지난해 2월부터 4개 월 동안 강력한 감사를 벌였다.

이에 따라 삼성중공업 내부에서 희망퇴직이 이뤄질 것이라는 소문이 무성하다. 이런 상황에서 대규모 손실이 발표될 경우 인력감축을 더욱 추진할 명분이 생겼다는 것이다.

대우조선해양도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다. 정성립 사장은 최근 새로 취임하면서 노조와 대규모 인력 감축은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 때문에 무작정 인력감축에 나설 경우 노사간 갈등이 예상된다.

하지만 대규모 손실에 따라 채권단이 적극 개입할 경우 비교적 온건한 인력감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 실사단을 꾸려 현장조사에 들어가기로 했다. 산업은행은 실사결과와 2분기 실적을 놓고 대우조선해양에 대대 근본적인 대응책을 내놓기로 했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들어 1천 명 이상을 내보내는 등 인력감원을 마치고 권오갑 사장이 나서 더 이상 구조조정은 없다고 밝혔지만 구조조정에서 자유롭지 못한 형편이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들어 1분기에 2천억 원 정도의 손실을 냈지만 2분기에 영업이익에서 흑자로 전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상반기 수주액이 지난해 대비해 34.2%나 줄었다. 연간 목표수주액의 3분의 1도 채우지 못했다.

이 때문에 향후 경영실적에 빨간등이 켜졌다. 전문가들은 현대중공업도 추가적 인력 구조조정 가능성이 열려있다고 분석한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