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세용 구미시장이 추진하는 구미형 일자리가 최근 일본의 수출규제조치에 대응하는 소재 국산화정책의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떠오르고 있다.
LG화학의 양극재 생산공장을 중심으로 장차 배터리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만큼 관련 분야에서 정부의 연구개발(R&D) 집중지원 대상에 오를 수 있다.
6일 구미시청에 따르면 장 시장은 일본의 첨단소재 수출규제조치와 무관하게 구미형 일자리를 뚝심있게 추진하고 있다.
구미시 관계자는 “구미형 일자리는 LG화학과 협의해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한 단계”라며 “일부 언론에서 일본의 수출규제가 구미형 일자리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지만 현재 구미형 일자리 투자계획은 아무 변화 없이 예정대로 추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 시장과 LG화학은 7월25일 구미형 일자리 투자협약을 맺었다. 협약에는 구미 5공단에 2024년까지 연간 생산량 6만t 규모의 2차전지 소재 양극재 생산공장을 건립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장 시장은 LG화학 유치와 함께 배터리 분야의 기업 및 관련 기관들을 모아 첨단소재와 부품의 국산화를 추진하는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구미형 일자리는 당초 쇠락한 구미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계획됐다.
일본이 수출규제조치를 단행하면서 정부가 소재와 부품의 국산화를 위한 대규모 지원정책을 내놓고 있어 구미형 일자리가 장차 배터리 소재 국산화의 중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5일 “1~5년 안에 주력산업 및 신산업에 관련된 100대 핵심 품목을 국산화하도록 집중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으로 핵심 품목들에 관해 연구개발 지원, 예비 타당성 조사 면제, 인수합병(M&A) 금융지원 등 분야에서 45조 원에 이르는 대규모 투자 계획을 세웠다.
정부의 지원 대상품목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일본 의존도가 높은 배터리 관련 소재가 포함될 공산이 크다.
KDB미래전략연구소가 펴낸 ‘리튬 2차전지시장 및 기술동향 분석과 대응 방향’에 따르면 2차전지를 구성하는 양극재·음극재·분리막·전해질 등 4개 소재 가운데 양극재와 분리막은 점차 국산화가 이뤄지고 있지만 음극재와 전해질은 아직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장 시장은 앞으로 LG화학과 연계해 구미형 일자리를 추진하는 한편 배터리 소재와 관련해 정부 지원을 끌어내는 데 소매를 걷어붙일 것으로 보인다.
구미시 관계자는 “정부가 배터리 소재를 다루는 연구개발센터 등 구체적 지원책을 제시하면 해당 사업들을 유치하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구미 5공단은 충분한 부지를 보유하고 있어 정부 시설과 관련 기업들을 집적해 배터리 클러스터를 조성하기에 적합하다”고 바라봤다.
문재인 대통령이 구미형 일자리를 통한 소재 국산화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만큼 정부에서 적극 지원할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
문 대통령은 7월25일 구미형 일자리 투자협약식에 참석해 “지금은 핵심소재의 해외 의존도를 줄이는 것이 국가적 과제”라며 “구미형 일자리 협약은 우리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를 바라는 산업계와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
LG화학의 양극재 생산공장을 중심으로 장차 배터리 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만큼 관련 분야에서 정부의 연구개발(R&D) 집중지원 대상에 오를 수 있다.
▲ 장세용 구미시장이 7월25일 구미시 산동면 구미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구미형 일자리 투자협약식'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구미시>
6일 구미시청에 따르면 장 시장은 일본의 첨단소재 수출규제조치와 무관하게 구미형 일자리를 뚝심있게 추진하고 있다.
구미시 관계자는 “구미형 일자리는 LG화학과 협의해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한 단계”라며 “일부 언론에서 일본의 수출규제가 구미형 일자리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지만 현재 구미형 일자리 투자계획은 아무 변화 없이 예정대로 추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 시장과 LG화학은 7월25일 구미형 일자리 투자협약을 맺었다. 협약에는 구미 5공단에 2024년까지 연간 생산량 6만t 규모의 2차전지 소재 양극재 생산공장을 건립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장 시장은 LG화학 유치와 함께 배터리 분야의 기업 및 관련 기관들을 모아 첨단소재와 부품의 국산화를 추진하는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구미형 일자리는 당초 쇠락한 구미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계획됐다.
일본이 수출규제조치를 단행하면서 정부가 소재와 부품의 국산화를 위한 대규모 지원정책을 내놓고 있어 구미형 일자리가 장차 배터리 소재 국산화의 중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5일 “1~5년 안에 주력산업 및 신산업에 관련된 100대 핵심 품목을 국산화하도록 집중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으로 핵심 품목들에 관해 연구개발 지원, 예비 타당성 조사 면제, 인수합병(M&A) 금융지원 등 분야에서 45조 원에 이르는 대규모 투자 계획을 세웠다.
정부의 지원 대상품목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일본 의존도가 높은 배터리 관련 소재가 포함될 공산이 크다.
KDB미래전략연구소가 펴낸 ‘리튬 2차전지시장 및 기술동향 분석과 대응 방향’에 따르면 2차전지를 구성하는 양극재·음극재·분리막·전해질 등 4개 소재 가운데 양극재와 분리막은 점차 국산화가 이뤄지고 있지만 음극재와 전해질은 아직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장 시장은 앞으로 LG화학과 연계해 구미형 일자리를 추진하는 한편 배터리 소재와 관련해 정부 지원을 끌어내는 데 소매를 걷어붙일 것으로 보인다.
구미시 관계자는 “정부가 배터리 소재를 다루는 연구개발센터 등 구체적 지원책을 제시하면 해당 사업들을 유치하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구미 5공단은 충분한 부지를 보유하고 있어 정부 시설과 관련 기업들을 집적해 배터리 클러스터를 조성하기에 적합하다”고 바라봤다.
문재인 대통령이 구미형 일자리를 통한 소재 국산화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만큼 정부에서 적극 지원할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
문 대통령은 7월25일 구미형 일자리 투자협약식에 참석해 “지금은 핵심소재의 해외 의존도를 줄이는 것이 국가적 과제”라며 “구미형 일자리 협약은 우리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를 바라는 산업계와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