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TV업체들이 LCD패널 가격 하락에 힘입어 가격이 낮은 대형TV 출시를 공격적으로 확대하면서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늘리고 있다.
QLED TV와 올레드TV 등 고가의 프리미엄 TV 판매에 집중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중국 업체의 저가 공세로 판매에서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커졌다.
이동주 SK증권 연구원은 9일 “대형TV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시장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며 “특히 중화권 제조사의 가격 공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바라봤다.
중국 상위 TV업체 5곳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2017년 초 21%에서 2018년 말 27%까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중화권 패널업체들이 대형 LCD패널 생산을 공격적으로 늘려 패널가격 하락을 이끌면서 중국업체의 대형TV 가격도 크게 떨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TV업체를 주요 고객사로 둔 패널업체는 대형 LCD패널에 생산 투자를 사실상 중단해 공급 여력이 제한적이다.
이 연구원은 “중화권 TV 제조사의 가격 경쟁력이 강화되면서 국내 TV업체가 수익성에 큰 압박을 느낄 수밖에 없게 됐다”며 “앞으로 가격 인하 공세가 더욱 매서워질 것”이라고 바라봤다.
삼성전자는 QLED TV, LG전자는 올레드TV를 앞세워 고가의 대형TV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하지만 이 연구원은 중화권 제조사의 대형TV 출시가 확대되면서 QLED TV와 올레드TV 등 프리미엄 제품의 출하량은 둔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바라봤다.
이 연구원은 “삼성전자와 LG전자 TV사업부는 모두 올해 상반기에 수익성 확보에 고전했는데 하반기엔 가격 경쟁이 더욱 심화될 수 있어 쉽지 않은 상황에 놓일 것”이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
QLED TV와 올레드TV 등 고가의 프리미엄 TV 판매에 집중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중국 업체의 저가 공세로 판매에서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커졌다.

▲ 한종희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사장(왼쪽)과 권봉석 LG전자 MC/HE사업본부 사장.
이동주 SK증권 연구원은 9일 “대형TV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시장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며 “특히 중화권 제조사의 가격 공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바라봤다.
중국 상위 TV업체 5곳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2017년 초 21%에서 2018년 말 27%까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중화권 패널업체들이 대형 LCD패널 생산을 공격적으로 늘려 패널가격 하락을 이끌면서 중국업체의 대형TV 가격도 크게 떨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TV업체를 주요 고객사로 둔 패널업체는 대형 LCD패널에 생산 투자를 사실상 중단해 공급 여력이 제한적이다.
이 연구원은 “중화권 TV 제조사의 가격 경쟁력이 강화되면서 국내 TV업체가 수익성에 큰 압박을 느낄 수밖에 없게 됐다”며 “앞으로 가격 인하 공세가 더욱 매서워질 것”이라고 바라봤다.
삼성전자는 QLED TV, LG전자는 올레드TV를 앞세워 고가의 대형TV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하지만 이 연구원은 중화권 제조사의 대형TV 출시가 확대되면서 QLED TV와 올레드TV 등 프리미엄 제품의 출하량은 둔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바라봤다.
이 연구원은 “삼성전자와 LG전자 TV사업부는 모두 올해 상반기에 수익성 확보에 고전했는데 하반기엔 가격 경쟁이 더욱 심화될 수 있어 쉽지 않은 상황에 놓일 것”이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