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제전략문제사무소에서 발표한 세계 청소년 웰빙지수에서 우리나라는 3위를 차지했다. 우리 청소년들은 과연 행복할까? 겉은 화려하지만 속은 곪아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
|
|
▲ 미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가 지난 9일 청소년 웰빙지수를 발표했다. 한국은 오스트레일리아, 스웨덴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
13일 청소년단체 등에 따르면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에서 발표한 세계 청소년 웰빙지수에서 우리나라는 종합 3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미국, 일본을 비롯해 30개국을 대상으로 정보기술, 안전, 교육, 경제적 참여기회 등 총 6개의 지표를 놓고 조사했다.
우리나라는 정보기술 1위, 교육과 안전에서 4위를 차지하는 등 6개 지표에서 전체적으로 점수가 좋았다. 1위는 오스테일리아, 2위는 스웨덴이었다. 미국은 6위, 일본은 7위를 기록했다.
이 웰빙지수만 놓고 보면 우리 청소년들은 행복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지수는 5년 내내 OECD국가 중 꼴찌를 기록하고 있다. 2013년 OECD 평균지수가 100이라고 할 때 우리나라 청소년의 행복지수는 80에도 못 미치고 있다. 우리나라보다 한 순위 앞선 벨기에도 우리나라보도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학교생활 내 행복지수(PISA 조사기준, 2012년)에서 카타르, 라트비아보다 낮아 꼴찌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청소년 자살 증가율은 OECD국가 가운데 2위에 올라있다. 2001년 15세부터 19세 사이 10만 명당 자살률은 3.19명이었는데 2012년 8.2명으로 2.5배 이상 증가했다. 한 조사를 보면 청소년들이 자살을 생각하는 이유로 학교성적에 대한 비관이 35%로 가장 높았으며, 가정불화가 22%로 그 뒤를 이었다.
전문가들은 우리 청소년들이 높은 웰빙지수에도 불구하고 행복하지 않는 이유로 높은 교육열을 꼽았다. 국제전략문제연구소에 따르면 우리나라 부모들은 가정소득의 12%를 자녀교육에 투자한다. 반면에 미국 부모들은 단 2%만 자녀교육에 투자한다.
그만큼 우리나라 부모들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큰 기대를 걸고 있는 것이다. 이런 기대가 교육환경을 좋게 만들었다. 하지만 청소년들은 심한 압박을 받고 스트레스가 높아졌다.
한 청소년 상담 전문가는 “청소년들은 부모님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는 자괴감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며 “엇나가는 경우 부모님과 불화로 이어지기도 하며 심할 경우 자살을 생각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
|
|
▲ 청소년이 자살을 생각하게 되는 이유는 성적, 가정불화, 교우갈등, 가난 순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