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훈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이 18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환경부에서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 중간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는 정수장에서 가정까지 물을 공급하는 관로를 바꾸는 과정에서 총체적 대응 부실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18일 정부 원인조사반의 인천 붉은 수돗물 중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는 공촌정수장에 물을 공급하는 풍납취수장과 성산가압장이 전기 점검으로 가동이 중지됨에 따라 인근 수산·남동정수장에서 정수한 물을 수계전환 방식으로 대체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수계전환이란 정수장 사이 급수구역을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환경부는 직접적 사고원인을 무리한 수계전환이라고 진단했다.
평소 공촌정수장에서 수돗물을 공급할 때는 물이 흐르는 방향을 그대로 살리는 방식으로 공급하지만 이번에 수계를 전환할 때는 압력을 줘 역방향으로 공급했다.
역방향으로 수계를 전환하려면 흔들림이나 충격 등의 영향을 고려하고 이물질이 발생하는지를 따져 보면서 정상상태가 됐을 때 공급량을 서서히 늘려나가야 한다.
하지만 조작 과정에서 역방향으로 유량을 2배 이상 늘리면서 유속도 역방향으로 2배 이상 증가해 관벽에 부착된 물때가 바닥 침적물과 함께 서구 검단·검암지역으로 공급돼 초기 민원이 발생했다.
공촌정수장이 재가동되자 기존의 방향으로 수돗물이 공급되면서 관로 안의 혼탁한 물이 영종도 지역으로까지 공급됐다.
인천시의 사전대비와 초동대처도 미흡했다.
인천시는 ‘국가건설기준’에 따라 상수도 수계 전환을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의 대책을 세워야 했다. 하지만 인천시는 각 지역별 밸브 조작 위주로만 계획을 세우는데 그친 것으로 드러났다.
밸브를 조작하는 단계별로 수질 변화를 확인하는 계획도 세워두지 않아 사고를 유발한 물때 등 이물질 발생에 제때 대처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탁도계 고장으로 정확한 탁도 측정이 이뤄지지 않은 점도 붉은 수돗물 사태 장기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붉은 수돗물 사태는 5월30일 오후 1시30분경 인천시 서구 지역에서 최초로 민원이 접수됐다. 2일부터 영종도, 13일부터는 강화도까지 붉은 수돗물이 나온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사고 발생 20일째인 현재도 민원이 이어지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