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분류하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결정을 두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이 지사는 3일 경기도지사 공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게임은 콘텐츠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영역인데 특정한 부작용 때문에 산업 전체를 불온시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이재명 "게임 부작용 있다고 산업 전체의 불온시는 옳지 않아"

이재명 경기도지사.


이 지사는 “세계보건기구가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규정한 것은 잘못”이라며 “게임도 하나의 놀이인데 알코올중독이 있다고 술을 못 팔게 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5월25일 게임중독을 질병코드로 등재하는 내용을 담은 국제질병분류 개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했다.

국제질병분류 개정안은 2022년 1월부터 효력이 생기며 한국 정부가 절차를 밟아 세계보건기구의 권고안을 받아들이면 2026년부터 국내에서도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분류하게 된다.

이 지사는 게임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사람의 노동력을 기계와 컴퓨터가 대신하면서 남는 시간에 할 것은 결국 노는 것”이라며 “기술과 산업이 발전하면서 문화와 예술, 게임 등이 성장할 수밖에 없는 만큼 욕을 먹더라도 관심을 갖고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4월 게임산업 육성을 위해 2022년까지 533억 원을 투자하는 내용을 담은 ‘경기도 게임산업 육성 추진계획’을 내놨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