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이 앞으로 4년 동안 평균 2.5%로 하락해 저성장이 굳어질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9일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 추정 및 시사점’ 보고서를 내놨다.
한국경제연구원은 현재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은 2.7%이고 앞으로 4년(2019∼2022년)동안 평균 2.5%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3∼2030년에는 잠재성장률이 2.3%로 낮아지고 2030년대에는 1%대까지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잠재성장률 둔화의 주요 원인으로 공급부문의 생산성 저하를 들었다.
한국경제의 성장을 이끈 원동력은 수요 측면보다는 공급 측면의 생산성 증대였는데 금융위기 이후 지속해서 공급부문 충격이 축소되면서 잠재성장률이 하락했다는 것이다.
이승석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과감한 구조개혁과 규제 철폐를 통해 공급부문의 생산성을 증대하고 지속적 혁신에 힘써야 한다”며 “기업들도 안정적 투자보다는 공격적 투자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생산성의 하락추세가 빠르게 진행되면 잠재성장률은 제시한 결과보다 더욱 떨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은행은 2016∼2020년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을 2.8∼2.9%로 전망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019년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을 2.6∼2.7%로 추산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9일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 추정 및 시사점’ 보고서를 내놨다.
▲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장.
한국경제연구원은 현재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은 2.7%이고 앞으로 4년(2019∼2022년)동안 평균 2.5%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3∼2030년에는 잠재성장률이 2.3%로 낮아지고 2030년대에는 1%대까지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잠재성장률 둔화의 주요 원인으로 공급부문의 생산성 저하를 들었다.
한국경제의 성장을 이끈 원동력은 수요 측면보다는 공급 측면의 생산성 증대였는데 금융위기 이후 지속해서 공급부문 충격이 축소되면서 잠재성장률이 하락했다는 것이다.
이승석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과감한 구조개혁과 규제 철폐를 통해 공급부문의 생산성을 증대하고 지속적 혁신에 힘써야 한다”며 “기업들도 안정적 투자보다는 공격적 투자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생산성의 하락추세가 빠르게 진행되면 잠재성장률은 제시한 결과보다 더욱 떨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은행은 2016∼2020년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을 2.8∼2.9%로 전망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019년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을 2.6∼2.7%로 추산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