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주식시장 가격제한폭이 6월15일부터 기존 15%에서 30%로 확대된다. 20일 오후 서울 중구 외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뉴시스> |
주식시장의 가격제한폭이 6월15일부터 기존 15%에서 30%로 확대된다.
증권업계 관계자들은 중소형 우량주를 중심으로 거래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개인투자자들이 피해를 입을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가격제한폭 확대를 통해 주식시장이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한다.
김원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본부장은 최근 “가격제한폭을 확대해 증시의 역동성을 제고하고 기업가치에 기반한 시장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한국거래소는 이전에도 네 차례에 걸쳐 가격제한폭을 확대했다. 1998년 12월 가격제한폭이 현재의 15%로 확대되자 주식거래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당시 주식시장에서 거래된 주식은 가격제한폭 확대 이전 약 1억71만 주에서 2억3981만 주로 급증했다.
증권업계 관계자들은 이번에 가격제한폭이 확대되더라도 주식시장 거래대금이 단번에 급증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1998년 12월 거래양 확대는 금융규제 완화로 외국인투자자들이 증시에 대거 참여한 영향이 더 컸다.
서보익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가격제한폭이 30%로 확대될 경우 전체 주식시장 거래대금이 지금보다 0.38% 증가한다고 전망했다. 그동안 15% 가격제한폭에 막혀 거래되지 못한 매수나 매도잔량 거래대금이 코스피 0.26%, 코스닥 0.61%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동안 상하한가를 자주 기록했던 중소형주들 가운데 우량주를 중심으로 주식거래가 활성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스피는 지난해 전체 거래일 245일 가운데 소형주가 단 1종목이라도 상한가를 기록한 날이 227일이나 됐다. 하한가가 나타난 날은 모두 117일이었다. 코스닥은 245일 내내 상한가가, 182일 동안 하한가가 1종목 이상 발생했다.
김용구 삼성증권 연구원은 “대형주보다 중소형주의 상한가 도달빈도가 높은 점을 고려하면 관련 시장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며 “투자전략의 승부수가 대형주보다 중소형주 시장, 악재보다 호재에서 갈릴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주가의 변동성이 커지는 만큼 개인투자자가 급락에 따라 입을 피해도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개인투자자들이 중소형주에 투자하는 비중이 기관투자자나 외국인투자자보다 높기 때문이다.
가격제한폭이 30%로 확대된 뒤 어떤 종목이 3일 연속 상한가에 도달하면 원래 주가의 2배를 넘어서게 된다. 반대로 하한가를 2일 연속 기록하면 원래 주가가 반토막 나는 상황이 된다.
'가짜 백수오' 사태로 시가총액이 10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 내츄럴엔도텍의 경우 주가가 9만원 대에서 9천원 대로 내려앉는 데 한 달 가량이 걸렸다.
내츄럴엔도텍은 22일 소비자원 발표 이후 모두 14차례 하한가를 기록했다. 가격제한폭이 30%였다면 이 기간이 더 짧아지는 것은 물론 개인투자자들의 손실폭도 더 컸을 것이란 뜻이다.
김용구 연구원은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는 수익기회와 투자손실 위험성이 모두 2배 증가했다는 것을 가리킨다”며 “앞으로 펀더멘털에 근거한 중소형주 옥석 가리기와 철저한 투자위험성 관리가 더욱 강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가격제한폭이 확대되더라도 예상보다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커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광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과거와 해외사례를 분석하면 시장상황에 의한 변화가 더욱 컸다”며 “코스피 기준으로 상하한가를 낸 종목 중 소형주의 비중이 90.5%인 점을 감안하면 상하한가가 확대돼도 증시 전체 거래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증권사들은 가격제한폭 확대를 통해 수익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TB투자증권은 20일 상한가를 나타내며 3780원으로 장을 마쳤다. NH투자증권을 비롯한 다른 증권사들도 전반적으로 주가가 강세를 보였다.
하지만 주식 가격제한폭 확대가 적극적인 내부리스크 관리와 거래시스템 구축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대형 증권사들만 실질적 수혜를 받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김용구 연구원은 “가격제한폭이 확대되면서 증권사들이 투자자에게 제공하던 주식담보대출 등 신용융자와 담보융자의 거래위험성이 커졌다”며 “상대적으로 관련 사업 비중이 낮고 리스크관리 시스템을 쌓을 여력이 있는 대형 증권사들이 경쟁력을 보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