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과 소형 저축은행의 실적 격차가 계속 벌어지고 시장에서 카드사의 연체율이 높아지는 등 소형 저축은행의 재무 건전성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신호들이 나타나고 있다.
2011년 저축은행 부실사태가 몇 개의 부실 저축은행에서 시작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부와 저축은행업계가 제2의 저축은행 부실 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소형 저축은행의 재무 건전성을 관리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 7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카드사 연체율이 상승함에 따라 소형 저축은행의 건전성 지표인 연체율, 고정이하 여신비율 등도 지난해 말보다 악화됐을 것으로 파악된다.
7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카드사 연체율이 상승함에 따라 소형 저축은행의 건전성 지표인 연체율, 고정이하 여신비율 등도 1분기에 악화됐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1분기 주요 7개 카드사의 연체율은 모두 지난해 1분기보다 0.01~0.24%포인트까지 상승했다.
카드사 연체율 상승은 카드론과 현금 서비스 등을 갚지 못하는 저신용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뜻인 만큼 저축은행 연체율도 1분기에 상승했을 가능성이 높다.
저축은행 연체율 상승은 재무 건전성이 나빠지고 있는 소형 저축은행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저축은행들은 지난해 역대 최대 순이익을 거두는 등 순항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일부 대형 저축은행에 한정된 것이다.
금융감독원의 금융정보 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저축은행 순이익 1조1080억 원 가운데 약 40%를 SBI, OK, 상상인, 웰컴, 한국투자저축은행 등 상위 5대 저축은행이 차지했다.
79개 저축은행 가운데 순이익이 줄어든 곳은 43곳이며 디에이치, 대아, 대백, 대원상호, 삼보저축은행 등 5곳은 적자를 나타내기도 했다.
지방 소형 저축은행은 이미 재무 건전성이 심각한 수준까지 악화됐다.
연체율을 살펴보면 부실 위기에 몰린 경주의 대원상호저축은행(51.4%)를 제외하더라도 대구의 대백저축은행(10.96%), 광주의 동양저축은행(10.22%), 경남 진주의 진주저축은행(10.04%), 부산의 우리저축은행(10.01%)등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모두 두 자릿수를 넘어서기 시작했다.
금융감독원은 소형 지방 저축은행의 재무 건전성 개선을 돕기 위해 영업 규제를 저축은행의 규모와 지역에 맞게 차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3월 정기회의에서 “지방 경기부진 등으로 상호금융과 지방은행의 대출 건전성이 악화되고 있다”고 발표했는데 금감원은 지방 소형 저축은행의 부실이 지방은행 등으로 옮겨가는 것을 막으려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더욱 적극적 대책이 나와야만 지방 소형 저축은행의 부실로 촉발될 수 있는 위기에 대처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현재 상황이 이어지면 2011년 삼화상호저축은행 등 소수의 저축은행 부실이 저축은행업계 전체로 확대된 '저축은행 부실사태'가 지방 소형 저축은행 부실로 재현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2011년 저축은행 부실 사태도 소수의 저축은행 부실로 시작해 저축은행업계 전체로 확대됐다”며 “정부가 지방 소형 저축은행의 영업규제 완화뿐만 아니라 소형 저축은행의 인수합병 등을 적극적으로 주도할 필요도 있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