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한국전력공사, 서울에너지공사가 공동주택 승강기에 자가발전장치를 설치해 온실가스를 줄인다.
서울시는 한국전력 서울본부 2곳(서울본부·남서울본부), 서울에너지공사와 협약을 맺고 ‘승강기 자가발전장치 지원사업’을 함께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승강기 자가발전장치는 승강기가 높은 층에서 낮은 층으로 내려갈 때 발생하는 위치에너지를 활용해 전력을 생산한다.
서울시와 한국전력은 2019년에 서울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승강기 자가발전장치 3천 대를 설치한다. 전체 예산은 서울시 18억 원, 한국전력 12억 원으로 예정됐다.
1대당 설치비용 120만 원 가운데 100만 원을 서울시와 한국전력이 6:4로 부담한다. 나머지 설치비용 20만 원은 자가발전장치를 신청한 공동주택이 부담한다.
설치를 원하는 공동주택은 각 자치구 주택부서에 신청하면 된다.
서울시는 자가발전장치 3천 대를 모두 설치하면 연간 전력량 869만1천 킬로와트시(kWh)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전력 사용료를 고려하면 4년 만에 투자비용을 회수할 수 있다.
서울에너지공사는 승강기 자가발전장치로 절감된 전력만큼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권을 국내 온실가스 배출 사업자에게 판매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한국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배출전망치(BAU)보다 37% 감축하겠다는 계획을 세웠고 서울시도 2020년까지 25% 감축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한국전력, 서울에너지공사와 함께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
서울시는 한국전력 서울본부 2곳(서울본부·남서울본부), 서울에너지공사와 협약을 맺고 ‘승강기 자가발전장치 지원사업’을 함께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 박원순 서울시장.
승강기 자가발전장치는 승강기가 높은 층에서 낮은 층으로 내려갈 때 발생하는 위치에너지를 활용해 전력을 생산한다.
서울시와 한국전력은 2019년에 서울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승강기 자가발전장치 3천 대를 설치한다. 전체 예산은 서울시 18억 원, 한국전력 12억 원으로 예정됐다.
1대당 설치비용 120만 원 가운데 100만 원을 서울시와 한국전력이 6:4로 부담한다. 나머지 설치비용 20만 원은 자가발전장치를 신청한 공동주택이 부담한다.
설치를 원하는 공동주택은 각 자치구 주택부서에 신청하면 된다.
서울시는 자가발전장치 3천 대를 모두 설치하면 연간 전력량 869만1천 킬로와트시(kWh)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전력 사용료를 고려하면 4년 만에 투자비용을 회수할 수 있다.
서울에너지공사는 승강기 자가발전장치로 절감된 전력만큼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권을 국내 온실가스 배출 사업자에게 판매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한국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배출전망치(BAU)보다 37% 감축하겠다는 계획을 세웠고 서울시도 2020년까지 25% 감축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한국전력, 서울에너지공사와 함께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