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준 고양시장이 기시피설 건립 및 관리 문제를 두고 서울시와 담판에 나선다.

서울시민이 주로 이용해온 하수 분뇨처리장, 음식물 재활용시설 등 기피시설을 놓고 고양시민들의 민원이 빗발치고 있기 때문이다.
 
고양시장 이재준, 기피시설 지역갈등 놓고 서울시와 담판 제안

▲ 이재준 고양시장.


5일 고양시는 고양시 내 서울시 소유 기피시설 처리를 놓고 공동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이 시장은 기존 실무부서 차원에서 협의해 상부에 보고하는 방식이 아니라 서울시와 고양시의 제1부시장급이 대표로 나서 굵직한 정책 사안을 결정하는 정책협의체를 제안했다. 

이 시장은 “기피시설 갈등 해소를 위해 고양시와 서울시가 오랫동안 노력해왔으나 아직까지 주민 기대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며 “소모적 대립을 넘어 상생으로 가기 위해 서울시의 전향적 결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서울시와 고양시 제1부시장이 만나 현안을 해결짓지 못하면 박원순 시장과 직접 만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이 시장은 또 정책협의체에 고양시와 서울시의 상호 중재자 역할로 경기도가 참여하는 것을 제안했다.  

고양시 관계자는 “고양시뿐만 아니라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서울시와 갈등관계에 있다”며 “경기도를 협조기관으로 참여해 협의체를 구성하면 도시 사이 갈등 해결의 선제적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서울시에서 운영 중인 고양시 내 기피시설은 난지물재생센터, 벽제승화원, 서대문구 음식물처리시설 등 5개소다. 

벽제승화원은 50년 동안 가동됐고 다른 시설도 3~40년 이상 운영돼왔다.

고양시 인구가 늘면서 기피시설에 대한 지역주민의 민원도 늘어났다. 고양 시민들은 “이용은 서울시민이 하면서 피해는 고양시민이 받는다”,“우리가 서울시 쓰레기장이냐”며 반발해왔다. 

난지물재생센터를 지하에 건립하거나 벽제승화원를 공원으로 조성하는 방안도 대안으로 제시됐지만 합의를 이뤄내지는 못했다. 

서울 은평구청이 고양시와 서울시 경계지역에 건립하기로 한 은평광역자원센터를 두고 갈등이 커졌다. 주민들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 제기한 민원이 월 평균 5천 건에 이르러 국가인권위원회에서도 ‘심각 민원’으로 분류됐다.    

이재준 시장은 “난지물재생센터 지하화, 벽제승화원 공원화 같은 굵직한 합의는 정책적 결정이 뒷받침돼야 하는 사안들로 담당부서 사이의 협의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고양시청과 각 기피시설의 해당구청 관계자들 사이에서만 논의되다 보니 해결이 지지부진하고 일관된 방향이 없었다는 것이다. 

고양시 관계자는 “서울시와 고양시에서 정책적 판단을 할 수 있는 분들이 협의체에 참여해 의견을 나누는 것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와 고양시는 2012년에 서울시 기피시설로 야기되는 고양시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2012년 상생발전을 위한 공동합의문’을 체결했지만 실행없는 합의에 그쳤다. 

이 시장이 명문상의 조항이었던 공동실무협의회를 7년 만에 제안한 것은 임기 내 기피시설 갈등을 해결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 시장은 평소 “고양시의 가장 큰 사회간접자본은 환경이다”며 “환경은 이제 생존권의 문제이며 우선순위가 아닌 결단의 문제다”라고 강조해왔다. [비즈니스포스트 석현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