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특별사면권 행사를 투명하고 공정하게 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정치인과 기업인에 대한 특별사면은 훨씬 까다로와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이재현 CJ그룹 회장 등 수감돼 있거나 재판을 받고 있는 재벌총수나 집행유예로 풀려난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등이 앞으로 사면복권을 받기가 힘들어질 것으로 보인다.
![]() |
||
▲ 박근혜 대통령 |
박 대통령은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라고 사면을 마음껏 행사하면 안 될 것”이라며 “공정하고 투명한 사면권 행사를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개선방안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대국민 메시지를 통해 특별사면에 대해 부정적 생각을 밝힌 적이 있다.
박 대통령은 정치개혁에 대한 의지도 거듭 밝혔다.
박 대통령은 “지난주 재보선에 정치개혁을 이루고 공무원연금 등 4대 개혁을 이뤄서 나라를 바로 세우라는 국민의 뜻이 담겨있다”며 “어떤 어려움이 있어도 부정부패의 고리를 끊고 낡은 정치를 국민이 원하는 정치로 바꿔나가고 공공·노동·교육·금융 4대 구조개혁도 강력히 추진해 성공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이름을 직접 거명하지는 않았으나 이를 부패척결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뜻을 재차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최근 논란이 되는 사건에 대해 검찰은 부정부패를 반드시 도려내겠다는 각오로 전력을 다해 국민의 뜻에 부응해야 할 것”이라며 “나아가 이번 사건을 정치개혁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