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문순 강원도지사가 사업 수익성 논란과 비판적 여론에도 춘천 레고랜드 프로젝트를 밀어붙이고 있다.

첫 도정부터 지금까지 중요 정책으로 추진한 최 지사의 주요 공약인데다 1500억 원의 비용이 들어간 레고랜드를 이제 와서 손에서 놓기 어렵다.  
 
최문순이 '춘천 레고랜드' 7년 표류해도 포기 못하는 속사정

최문순 강원도지사.


25일 강원도청에 따르면 최문순 지사는 춘천 레고랜드사업의 수익성을 두고 도 안팎에서 쏟아지는 비판에도 강행 의지를 드러냈다. 

강원도청 관계자는 “이제 사업의 첫 삽을 뜨는 상황에서 미리 수익성을 내다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레고랜드를 통해 기대했던 경제적 유발효과, 고용 유발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지사는 2018년 12월 국제 엔터테인먼트기업인 멀린그룹과 협의해 레고랜드 직접 투자를 이끌어냈다.

멀린그룹이 직접 레고랜드를 짓고 강원도는 입장료 등 일정 수익을 나눠 차지하는 방식이다. 멀린그룹은 1800억 원, 강원중도개발공사는 8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최 지사는 7년 동안 지지부진했던 레고랜드를 2021년 7월 완공한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하지만 강원도의회와 시민단체는 최 지사가 레고랜드사업 성사에만 집착해 강원도에 지나친 재정 부담을 지게 만들었다고 비판하고 있다.

강원도의회는 최근 도정질문에서 춘천 레고랜드사업을 집중적으로 파헤친 뒤 “강원도와 멀린 시이의 총괄개발협약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불합리한 독소조항들이 많다”고 지적했다.

협약에 따르면 멀린그룹은 레고랜드 부지를 기본 50년, 차후 협의에 따라 최장 100년 동안 무상으로 임대할 수 있다. 강원도에 토지 임대료를 한푼도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협약에는 레고랜드 연간 매출이 400억 원에 미치지 못할 때 멀린 그룹이 수익을 모두 가져간다는 내용도 있다. 400억 원은 레고랜드의 손익분기점으로 추산된 액수다. 레고랜드 연간 매출이 800억 원에 이르러도 강원도가 차지하는 수익은 10%에 불과하다.

춘천시민사회단체네트워크 등 시민단체들은 “레고랜드가 완공된다 해도 2027년에는 적자 규모가 2500억 원에 이를 것”이라며 “현재까지 들어간 매몰비용 1500억 원가량을 감수하고 지금이라도 레고랜드 사업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최 지사는 “그동안 발생했던 문제는 모두 내 불찰이었다”며 “앞으로 사업 투명성과 책임성을 더 강화하겠다"는 답변으로 레고랜드 강행 의지를 분명히 했다.  

최 지사가 처음 강원도지사에 당선됐을 때부터 2018년 지난해 3선 도전 공약으로 내세웠던 레고랜드사업을 이제 와서 포기한다면 공약 파기나 거짓말 논란에 휩싸일 수 있다.  

최 지사는 2011년 강원도지사에 당선된 뒤 멀린그룹과 투자합의각서를 체결하면서 레고랜드사업에 발을 들였다. 그러나 이후 레고랜드 예정 부지인 춘천 의암호 중도에서 대규모 청동기 유적이 발굴돼 사업이 지연되는 등 각종 비용이 늘어나면서 좀처럼 레고랜드를 본궤도에 올려놓지 못했다. 

설상가상으로 사업을 주관한 엘엘개발(현재 강원중도개발공사) 대표가 업무상 횡령 등 비리를 저지른 혐의로 법정구속돼 사업 추진에 동력을 잃기도 했다. 

최 지사가 도의회와 시민단체 등 주위의 반대 의견을 무릅쓰고 레고랜드사업을 추진하는 만큼 레고랜드 성공 여부에 따라 향후 최 지사의 정치적 입지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춘천에 지역구를 두고 있는 김진태 자유한국당 의원은 “레고랜드가 성공하기를 바라지만 현재 방식으로는 사업 성공이 불투명하다”며 “레고랜드사업이 실패하면 최 지사는 모든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